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광통교(廣通橋)[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종로에서 을지로 사이의 청계천에 놓여있던 다리.광교(廣橋)라고도 함.

광통교(廣通橋)[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종로에서 을지로 사이의 청계천에 놓여있던 다리. 광교(廣橋)라고도 함.

광평 사람 같으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3 페이지 / 전적]

사무 처리에 능함을 말한다. 진(晋) 나라 주처(周處)가 광평태수(廣平太守)가 되어 삼십 년이나 지체된 옥송(獄訟)을 하루아침에 판결했다는 고사에서 나옴. 《文選》

광평(廣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2 페이지 / 전적]

「廣平」― 唐 나라 宰相 宋琼을 廣平郡公으로 封했으므로 宋璟을말한 것이며 여기는 圭庵이 宋氏인 때문에 빌려쓴 것임.

광평군(廣平君)[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광평군은 세종의 5남이나, 명필로는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유명함. 따라서 안평대군의 오기(誤記)인 듯함.

광평군(廣平君)[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광평군은 세종의 5남이나, 명필로는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유명함. 따라서 안평대군의 오기(誤記)인 듯함.

광평군(廣平君)[한흥가라 21 페이지 / 전적]

광평군은 세종의 5남이나, 명필로는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이 유명함. 따라서 안평대군의 오기(誤記)인 듯함.

광평군(廣平君)[한양가라 19 페이지 / 전적]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글씨로 유명한 안평대군(安平大君)으로 잘못 표기.

광풍 제월(光風霽月)[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비 온 뒤에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광풍(光風)[궁장가(宮墻歌) 11 페이지 / 전적]

맑게 갠 날씨에 부는 바람. 봄날에 따사롭게 부는 바람.

광풍(光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 페이지 / 전적]

「光霽」- 光風霽月이 준 말임。宋史 周敦頣傳에 『黃庭堅은 그 人品이 심히 높음을 칭찬하여 「胸襟이 灑落하여 光風霽月과 같다」』하였음。

광풍(狂風)[이화가젼 13 페이지 / 전적]

미친 듯이 사납게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

광풍(狂風)[이화가젼 13 페이지 / 전적]

미친 듯이 사납게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

광풍(狂風)[노정가라(노졍기라) 4 페이지 / 전적]

미친 듯이 사납게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 갑자기 또는 무섭게 일어나는 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임.

광풍(狂風)[유소가 3 페이지 / 전적]

미친 듯이 사납게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

광풍(狂風)[벌교사(벌교) 13 페이지 / 전적]

미친 듯이 사납게 휘몰아치는 거센 바람.

광풍제월(光風霽月)[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비 온 뒤에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광풍제월(光風霽月)[권션지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송의 황정견(黃庭堅)이 주돈이(周敦頤)의 인격을 평해서 한 말로, “구름을 헤치고 나온 달과 같고 비 갠 뒤에 불어오는 바람과 같다는 의미.

광풍제월(光風霽月)[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2 페이지 / 전적]

비 온 뒤에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넓고 쾌활하며 시원스런 인품의 비유.

광풍제월(光風霽月)[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비가 갠 뒤의 바람과 달이란 뜻으로, 마음결이 명쾌하고 집착이 없으며 쇄락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