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8,590개

교만지심(驕慢之心)[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0 페이지 / 전적]

제 스스로가 잘난 체하며 겸손하지 않고 뽐내어 방자한 마음.

교모(校帽)[경노의심곡 15 페이지 / 두루마리]

학교에서 지정한 모자.

교목(喬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7 페이지 / 전적]

「喬木」- 故國을 말함. 孟子 梁惠玉篇에 「所謂故國者 非謂有喬木之謂也 謂有世臣之謂也」라 하였음.

교목세신(喬木世臣)[가사소리 37 페이지 / 전적]

여러 대에 걸쳐 중요한 벼슬을 지낸 집안 출신이어서 나라와 운명을 같이하는 신하.

교민가(敎民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백성에게 농사하는 것을 가르치다.

교민가색(敎民稼穡)[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친다는 뜻으로 『맹자(孟子)』<등문공장구상(滕文公章句上)>에 “후직이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오곡을 심고 가꾸게 하였는데, 오곡이 영글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后稷敎民稼穡 樹藝五穀 五穀熟而人民育”라 한데서 나온다.

교민가색(敎民稼穡)[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친다는 뜻으로 『맹자(孟子)』<등문공장구상(滕文公章句上)>에 “후직이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오곡을 심고 가꾸게 하였는데, 오곡이 영글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后稷敎民稼穡 樹藝五穀 五穀熟而人民育”라 한데서 나온다.

교민경(敎民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백성에게 밭을 가는 것을 가르치다.

교민역색(敎民力穡)[명륜가(明倫歌) 48 페이지 / 전적]

백성을 가르치는 것에 힘을 씀.

교민예악(敎民禮樂)[경화가(警和歌) 23 페이지 / 전적]

백성들에게 예(禮)와 악(樂)을 가르치고.

교민예악(敎民禮樂)[경화가(警和歌) 23 페이지 / 전적]

백성들에게 예(禮)와 악(樂)을 가르치고.

교발(交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함께 나옴 또는 쏟아져 나옴.

교발(交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1 페이지 / 두루마리]

함께 나옴 또는 쏟아져 나옴.

교방(敎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8 페이지 / 전적]

音樂을 가리치는 곳임. 白居易의 琵琶行에 「名屬敎坊第一部라는 글구가 있음.

교배(交拜)[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을 주고받는 예(禮).

교배(交杯)[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술잔을 건네는 것.

교배례(交拜禮)[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인 때, 신랑 신부가 서로 절하는 예.

교배례(交拜禮)[장씨부인역사라 4 페이지 / 전적]

혼인 때, 신랑 신부가 서로 절하는 예.

교배례(交拜禮)[한탄가 1 페이지 / 전적]

전통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예식.

교배례(交拜禮)[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재래식 혼인 때 초례상(醮澧床) 앞에서 신랑·신부가 절을 주고받는 절차. 재래식 혼인에서는 신랑이 신부집으로 대례를 치르러 가는 것이 상례인데, 신부집에서 대례를 치르는 절차는 우선 전안례(奠雁禮) 후에, 혼인의 가장 중요한 절차인 교배례가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