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괘효단상(卦爻彖象)[경화가(警和歌) 11 페이지 / 전적]
괘(卦)는 복희씨가 만들었다는 글자. 한 괘에 삼효(三爻)를 음양(陰陽)으로 나누어서 8괘가 되고, 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된다. 이것으로 천지간을 나타내며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함. 효(爻)는 효의 발동에 따라 일어나는 음양변화를 ‘본받는다’는 뜻에서 본받을 효(效)의 뜻이 있음. 단(彖)은 문왕이 괘의 재질에 대하여 정의를 내린 것이 괘사인데, 이 괘사를 단(彖)이라 함. 단은 ‘돼지어금니 단’, ‘끊을 단’, ‘판단할 단’ 등으로 쓰임. 상(象)은 공자가 괘효의 상을 보고 설명한 상전(象傳)으로서, 십익(十翼) 중의 하나임.
괴걸(怪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괴상할 정도로 재주나 힘이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
괴괴히[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아주 고요하여 쓸쓸한 느낌이 들 정도로.
괴당(槐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4 페이지 / 전적]
「槐堂」―北宋 王祐가 손수 三槐를 뜰에 심으며 하는 말이「내 子孫이 반드시 三公이 되는 자가 있을 것이다」하였으므로 天下가 三槐王氏라 일렀는데 바로 王旦의 父였다. 蘇軾의 三槐堂銘이 있음. 여기는 金石相의 挽이기 때문에 빌려 쓴것임.
괴덕스런[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0 페이지 / 전적]
말이나 행동이 실없고 수선스러워 미덥지 못함.
괴덕스럽다[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말이나 행동이 실없고 수선스러워 미덥지 못함.
괴룡(乖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乖龍」―茆亭客語에「世傳乖龍者 苦於行雨 多方竄匿 或在古木楹柱之內 及樓閣鴟甍中」이라 했음. 韓愈詩에「煩君自入華陽洞直割乖龍左耳來」의 句가 보임.
괴망(怪妄)[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3 페이지 / 전적]
말과 행동이 괴상하고 망측한 것.
괴망(怪妄)[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성격이나 언행이 괴상하고 망측함.
괴망(怪妄)[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말이나 행동이 괴상하고 망측함.
괴목(槐木)[쳥츈상심곡(쳥츈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회화나무로 만든 장롱.
괴변(怪變)[벽천가 20 페이지 / 전적]
예상하지 못한 괴상한 재난이나 사고.
괴변층생(怪變層生)[명륜가(明倫歌) 56 페이지 / 전적]
괴이한 변고가 층층이 생김.
괴상(怪常)[벽천가 28 페이지 / 전적]
보통과 달리 괴이하고 이상함.
괴상지변(怪常之變)[명륜가(明倫歌) 85 페이지 / 전적]
괴상한 변고.
괴서(槐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槐署」―承文院을 말함.
괴석(怪石)[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괴이한 바위.
괴석(怪石)[허후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괴상하게 생긴 돌.
괴석槐石[ 1 페이지 / ]
괴변석 槐邊石을 말함. 홰나무 가에 있는 바윗돌.
괴수(魁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0 페이지 / 전적]
못된 짓을 하는 무리의 우두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