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교동(狡童)[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교활한 아이.
교령(敎令)[거취가(去取歌) 3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명령.위 작품에서는 그냥 명령을 의미함.
교리(校理)[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집현전, 홍문관, 교서관, 승문원 따위에 속하여 문한(文翰)의 일을 맡아보던 문관 벼슬. 정오품 또는 종오품이었음.
교리(校理)[김씨효행가 3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집현전, 홍문관, 교서관, 승문원 따위에 속하여 문한(文翰)의 일을 맡아보던 문관 벼슬. 정오품 또는 종오품이었음.
교리(蛟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蛟螭」― 龍蛇와 義가 같은데 筆致를 말한 것임.
교리수찬(校理修撰)[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교리(校理)는 조선 시대에 집현전, 홍문관, 교서관, 승문원에 속하여 문한(文翰)의 일을 맡아보던 문관 벼슬을 말하며 정오품 또는 종오품이었다. 수찬(修撰)은 고려시대에 예문춘추관에 둔 정칠품 벼슬이었으며, 다시 예문춘추관이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되면서 정팔품 벼슬로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홍문관에 둔 정육품 벼슬이 되었다.
교린지의(交隣之誼)[명륜가(明倫歌) 84 페이지 / 전적]
이웃과 사귄 정.
교마(轎馬)[사친가2(思親歌(二)) 5 페이지 / 전적]
가마와 말. 또는, 말이 끄는 가마. 가마(家馬) : 집에서 기르는 말. 등대(等待) : 미리 준비하고 기다리는 것.
교마(轎馬)[의향소창가 11 페이지 / 전적]
가마와 말.
교마(轎馬)[리행소챙가 5 페이지 / 전적]
가마와 말.
교마(轎馬)[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가마와 가마를 끄는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교마(轎馬)[환무자탄가 30 페이지 / 전적]
가마와 가마를 끄는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교마(轎馬)[운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가마와 가마를 끄는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교만(驕慢)[오윤가 29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며 뽐내고 건방짐.
교만(驕慢)[여자행신가 6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며 뽐내고 건방짐.
교만(驕慢)[여자행신가 6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며 뽐내고 건방짐.
교만(驕慢)[대비훈민가 16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고 뽐내며 방자(放恣)함.
교만(驕慢)[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잘난 체하며 뽐내고 건방짐.
교만(驕慢)[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0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고 뽐내며 방자(放恣)함.
교만(驕慢)[합강정가(合江亭歌) 14 페이지 / 전적]
잘난 체하고 뽐내며 방자(放恣)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