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광풍제월(光風霽月)[궁장가(宮牆歌) 6 페이지 / 전적]
비가 갠 뒤의 바람과 달이란 뜻으로, 마음결이 명쾌하고 집착이 없으며 쇄락함
광풍제월(光風霽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광풍제월(光風霽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광풍제월(光風霽月)[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비가 갠 뒤의 바람과 달처럼, 마음결이 명쾌하고 집착이 없으며 시원하고 깨끗한 인품을 형용한 말.
광풍제월(光風霽月)[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비가 갠 뒤의 바람과 달처럼, 마음결이 명쾌하고 집착이 없으며 시원하고 깨끗한 인품을 형용한 말.
광풍제월(光風霽月)[상사곡가사(상곡가사) 6 페이지 / 전적]
맑은 바람과 밝은 달.
광풍취우(狂風驟雨)[만수가(만슈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납게 몰아치는 바람과 세차게 내리는 비.
광풍취우(狂風驟雨)[만수가(만슈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납게 몰아치는 바람과 세차게 내리는 비.
광필(光弼)[녁대가(녁가) 58 페이지 / 전적]
이광필(李光弼, 708~764). 중국 당(唐) 숙종(肅宗)과 대종(代宗) 때의 장수(將帥)로 안사(安史)의 난(亂)을 평정(平定)하는 데 큰 공을 세웠음. 곽자의(郭子儀, 697~781)와 함께 ‘이곽(李郭)’이라고 불리며 명장(名將)으로 이름을 떨침.
광하천간(廣廈千間)[알성가(謁聖歌) 33 페이지 / 전적]
매우 크고 넓은 집
광한(廣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72 페이지 / 전적]
「廣漢」-廣漢宮인데 달을 이름. 天寶遺事에 『明皇遊月宮兒牓曰廣寒淸虛之府』라 하였음
광한뎐[ 1 페이지 / ]
광한전廣寒殿. 광한궁. 달 속에 있다는 가상적인 궁전. 정철은 선조 대왕이 계시는 왕궁을 이렇게 비유하였다.
광한루(廣寒樓)[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누각으로 보물 제281호이다. 조선시대의 재상 황희(黃喜)가 남원에 유배가서 1418년 현재보다 규모가 작은 누를 지어 광통루(廣通樓)라 했다. 광한루란 말은 달 속의 선녀가 사는 월궁의 이름인 광한전(廣寒殿)의 ‘광한청허루(廣寒淸虛樓)’에서 따온 것이다.
광한루(廣寒樓)[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누각으로 보물 제281호.
광한루(廣寒樓)[효행가(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누각으로 보물 제281호.
광한전(廣寒殿)[성산별곡 8 페이지 / 전적]
달 속의 항아(姮娥)가 산다는 전각.
광한전(廣寒殿)[사미인곡 3 페이지 / 전적]
달 속의 항아(姮娥)가 산다는 전각. 여기에서는 임금이 계시는 한양의 대궐.
광한전(廣寒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8 페이지 / 전적]
「廣寒」―天寶遺事에 『唐明皇이 月宮에 노닐면서 牓을 보니 「廣寒淸虗之府」라 했다』하였음.
광한전(廣寒殿)[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달 속에 있다고 전하는 항하(姮娥)가 사는 전각(殿閣). 광한궁(廣寒宮). 광한부(廣寒府)라고도 함.
광한전(廣寒殿)[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7 페이지 / 전적]
달 속에 있다는, 항아(姮娥)가 사는 가상의 궁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