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고지금(自古至今)[김씨효행가 35 페이지 / 두루마리]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도록.

자공(子貢)[민농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학자요, 웅변가. 공자의 제자로서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자공(子貢)[송강집(松江集五)5 137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인데 문학과 구변이 능한 이로 유명함

자공(子貢)[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자공(子貢)[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위나라의 유학자(?B.C.520~?B.C.456).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宰相)을 지냈다.

자공(子貢)[녁대가(녁가) 31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위나라의 유학자.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宰相)을 지냈음.

자공(自供)[인일가라 6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진실을 말함. 혹은 그런 내용.

자공은 단지 호련에[석천집(石川集二-二)2-2 199 페이지 / 전적]

자공이 물었다. ‘저는 어떤 사람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너는 비유컨대 하나의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자공이 말했다. ‘어떤 그릇인지요?‘ 공자가 말했다. ‘(종묘에서 제사드릴 때에 곡식을 담는) 호련이다.‘ -<<논어>> 제5 <공야장>

자과(自過)[충효가(忠孝歌) 9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저지른 죄. 또는 자신의 죄.

자관청(自官廳)[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5 페이지 / 전적]

관청으로부터.

자관청(自官廳)[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관청(官廳)부터.

자광(子光)[송강집(松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성종실록(成宗實錄)을 편찬할 때 김일손(金馹孫)이 그 스승이 지은 조의 제문(吊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을 기화로 무오(戊午) 사화(士禍)를 일으키고 점필재(佔畢齋)를 부관참시(剖棺斬尸)까지 하려 하였다.

자괴(自愧)[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부끄러워함.

자구다복(自求多福)[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그 몸의 복을 구한다는 뜻으로 『시경(詩經)』 ‘길이 하늘의 뜻에 맞도록 함이 스스로 그 몸의 복을 구함이라.永言配命 自求多福’에서 나왔다.

자구다복(自求多福)[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그 몸의 복을 구한다는 뜻으로 『시경(詩經)』 ‘길이 하늘의 뜻에 맞도록 함이 스스로 그 몸의 복을 구함이라.永言配命 自求多福’에서 나왔다.

자규[팔역가(八域歌) 19 페이지 / 전적]

소쩍새

자규(子規)새[사향가라 28 페이지 / 전적]

두견(杜鵑)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임.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음.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함.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함. 귀촉도 ‧ 두견새 ‧ 두견이 ‧ 두백(杜魄) ‧ 두우(杜宇) ‧ 불여귀 ‧ 사귀조(思歸鳥) ‧ 시조(時鳥) ‧ 자규(子規) ‧ 주각제금 ‧ 주

자규(子規)새[옥산가라 45 페이지 / 전적]

두견(두견과의 새).

자규루(子規樓)[팔도안희가 6 페이지 / 전적]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누각으로 관풍헌(觀風軒) 동쪽에 있다. 단종이 관풍헌에 머무를 때 오르던 곳이다. 본래 세종 10년(1428) 영월군수 신숙근에 의해 지어져 ‘매죽루(梅竹樓)’라 하였으나, 단종이 이 누각에 올라 지은 자규시가 너무나 애절해 자규루로 바뀌었다고 한다. 자규는 피를 토하듯이 우는 소쩍새를 말하는데, 단종 자신의 처지를 비유한 것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