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한흥가라 8 페이지 / 전적]

길이의 단위. 한 자는 한 치의 열 배로 약 30.3cm에 해당함.,

[한흥가라 8 페이지 / 전적]

길이의 단위. 한 자는 한 치의 열 배로 약 30.3cm에 해당함.,

[한흥가라 8 페이지 / 전적]

길이의 단위. 한 자는 한 치의 열 배로 약 30.3cm에 해당함.,

자(子)[해몽가라(몽가라) 3 페이지 / 전적]

십이지(十二支)의 첫째. 쥐를 상징함. 시각으로는 밤 11시부터 오전 1시 사이, 달로는 음력 동짓달, 방위(方位)로는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15°안을 가리킴.

자(字)[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9 페이지 / 전적]

어른을 높여 부르는 이름.

자가형제(自家兄弟)[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 집 형제.

자간방(子艮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8 페이지 / 전적]

정북과 동북 방향.

자강(子強)[송강집(松江集三)3 79 페이지 / 전적]

오건(吳健)의 자(字).

자개[셔유곡 16 페이지 / 전적]

금조개 껍데기를 썰어 낸 조각. 빛깔이 아름다워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게 썰어 가구를 장식하는 데 씀.

자개함농[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금조개 껍데기로 장식을 한 큰 농.

자개함농[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4 페이지 / 전적]

금조개 껍데기로 장식을 한 큰 농.

자거꽃[권왕가 5 페이지 / 전적]

차거(硨磲)처럼 아름다운 꽃을 가리키는 듯? 차거(硨磲) : 차거(車磲). 조개의 하나. 껍질을 간 것은 칠보(七寶)의 하나로 자식에 씀.

자건(子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9 페이지 / 전적]

「子建文章」―曹植은 三國 魏文帝의 第三子요 武帝의 第인데 字는 子建이요 陳王으로 封하여 卒後의 謚는 思이므로 陳思王이라 칭한다. 十歲에 屬文을 잘하여 붓을 잡으면 玄成하였으며 文才가 冨艶하였다. 謝靈運은 일찌기 말하기를 「天下文章只 一石子建獨得八斗」라 하였음

자결사종(自決辭宗)[오윤가 23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높은 위치에 오름.

자겸난(資謙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이자겸의 난을 일컫는다.

자경(自警), 부자유친(父子有親)[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4 페이지 / 전적]

스스로 경계하여 조심하는 것, 스스로 지킴,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는 친애(親愛)에 있음.

자계(自戒)[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스스로 경계함.

자고(慈姑)[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혹은 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자고(慈姑)[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혹은 듣는 이의 시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자고(慈姑)[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인자한 시어머니라는 뜻으로,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