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24 페이지 / 전적]
簀은 席을 말함. 禮記 檀弓에 會子가『임종의 즈음에 季孫氏가 보낸 자리를 깔고 있었는데 侍者가 말하기를 「이것은 화려하니 大夫가 까는 것」이라고 하자, 會子는 병을 무릅쓰고 기어이 자리를 바꿔 깐 다음에 운명하였다』라 하였음
자리박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4 페이지 / 전적]
자리에 박히다. 몸이 말라 잠자리에서 편치 못함을 뜻한다.
자리하고[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자망[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
자망[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
자맥 성변(紫陌城邊)[권왕가 59 페이지 / 전적]
도성(都城)의 큰길과 성(城)의 주변. 세류안(細柳岸) : 세버들이 있는 언덕.
자맥(紫陌)[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도성(都城)의 큰 길.
자모(慈母)[여자탄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로운 어머니. 어머니의 존칭.
자모(慈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은 어머니.
자모(慈母)[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로운 어머니.
자모(慈母)[여자탄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로운 어머니. 어머니의 존칭.
자모(慈母)[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로운 어머니.
자모(慈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은 어머니.
자모(慈母)[사향곡(향곡) 5 페이지 / 전적]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모(慈母)[경영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모(慈母)[옥산가라 30 페이지 / 전적]
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모(慈母)[녁대가(녁가) 18 페이지 / 전적]
자애로운 어머니.
자모(慈母)[축원하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
자모삼천(慈母三遷)[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고사
자모자정(慈母慈情)[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의 인자한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