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로(子路)[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자로(子路)[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의 제자로 효성이 지극하기로 이름남.

자로(子路)[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황남별곡(黃南別曲) 2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유학자.자로는 자(字).성명은 중유(仲由).변(卞

자로(子路)[나부가라(라부가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함.

자로(子路)[오륜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함.

자로(子路)[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한별곡 4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성은 중(仲).이름은 유(由).자로는 자.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B.C.543~B.C.480).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 공자의 제자로 십철(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 백리부미(百里負米)[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중유仲由)의 자(字). 이름은 중유(仲由), 가난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온 부모에 대한 효행.

자로(子路),백리부미(百里負米)[자경별곡 8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중유仲由)의 자(字). 이름이 중유仲由임.. 가난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온 부모에 대한 효행.

자로(子路)같은 가난한 효성(孝誠)[팔도안희가 16 페이지 / 전적]

자로(子路)의 부미양친(負米養親) 고사[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자로는 공자의 제자로서,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백 여리나 떨어진 먼 곳에 나가 고된 일을 하고, 그 품삯을 받은 돈으로 쌀을 사서 부모를 봉양하였다고 함.

자로.중궁.민자건(子路.仲弓.閔子騫)[권션지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들.

자로의 부미 고사[사친곡 4 페이지 / 전적]

자로가 가난하여 매일 쌀을 등짐으로 백리 밖까지 운반하여 그 품삯으로 부모를 봉양했다는 고사.

자로자로[오윤가 15 페이지 / 전적]

자주자주.

자뢰(資賴)[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4 페이지 / 전적]

밑천으로 삼음.

자른한슘[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짧은 한숨.

자릉(子陵)[초당춘수곡 7 페이지 / 전적]

엄자릉(嚴子陵) 후한 광무제의 권력욕을 한탄하며 벼슬을 버리고 영원히 은자가 되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