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락(藉樂)[초당춘수곡 7 페이지 / 전적]
즐거워 함.
자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2 페이지 / 전적]
「顔不伐」―論語 公冶長篇에「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라 하였음
자랑키는[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1 페이지 / 전적]
자랑하기는.
자래(自來)[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3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오다.
자래하니[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옴.
자래하니[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옴.
자력(資力)[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바탕이 되는 힘, 자산(資産)의 힘.
자력(資力)[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바탕이 되는 힘, 자산(資産)의 힘.
자로(子路) 백리부미(百里負米)[ 1 페이지 / ]
공자의 제자인 중유仲由)의 자(字). 이름은 중유(仲由). 가난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온 부모에 대한 효행.
자로(子路) 백리부미(百里負米)[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중유仲由)의 자(字). 이름은 중유(仲由). 가난하여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온 부모에 대한 효행.
자로(子路)[계녀사라 4 페이지 / 전적]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자로’는 자(字). 공자의 제자로서 부미양친(負米養親)의 고사가 전함. 자로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백여 리나 떨어진 먼 곳까지 가서 고된 일을 하고, 그 품삯을 받은 돈으로 쌀을 사와서 부모를 공양했다고 함.
자로(子路)[양친가(養親歌) 4 페이지 / 전적]
자로는 자(字), 성명은 중유(仲由),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사친가2(思親歌(二)) 1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의 학자. 성은 중(仲), 이름은 유(由), 노(路)는 그의 자이 다. 공자(孔子)의 제자로 10철(哲)의 한 사람임.
자로(子路)[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자로는 자(字). 성명은 중유(仲由).
자로(子路)[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자로는 자(字). 성명은 중유(仲由).
자로(子路)[화전가1 10 페이지 / 전적]
孔子의 제자, 名은 由,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와서 부모를 봉양했다는 故事가 있음.
자로(子路)[화전가2 10 페이지 / 전적]
孔子의 제자, 名은 由, 백리 밖에서 쌀을 지고 와서 부모를 봉양했다는 故事가 있음.
자로(子路)[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공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만수가(만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공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으며 공자를 제일 잘 섬겼다고 한다.
자로(子路)[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