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내서(咨內書)[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2 페이지 / 전적]

중국과 왕복하던 서한.

자내신세(子乃身勢)[근농가(勤農歌) 4 페이지 / 전적]

자내는 ‘자네’의 이인칭 표현. 그대의 불행한 일과 관련된 일신상의 처지와 형편을 뜻함.

자내신수(子乃身數)[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8 페이지 / 전적]

그대의 신수(身數 : 사주팔자).

자녀가 되면 부모께 효(孝)를 다함[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자녀 지어효(子女 止於孝).

자녀간(子女間)[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자녀 사이.

자념(自念)[사향곡(향곡) 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생각함.

자는범을[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는 호랑이를.

자닝하고[조심가라 22 페이지 / 전적]

애처롭고 불쌍하여 차마 보기 어렵고.

자닝하고[조심가라 22 페이지 / 전적]

애처롭고 불쌍하여 차마 보기 어렵고.

자단(自斷)[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딱 잘라 결정함.

자당(慈堂)[츅친서라 4 페이지 / 전적]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당로(堂老), 대부인(大夫人), 모당(母堂), 모부인(母夫人), 모주(母主), 북당(北堂), 영당(令堂), 존당(尊堂), 훤당(萱堂)이라고도 한다.

자당(自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가 속(屬)해 있는 당(黨).

자당수신(慈堂晬辰)[봉별가 11 페이지 / 전적]

어머님의 생신

자도(子道)[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자식된 도리.

자동류남(自東流南)[그리져리구경하고 9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름.

자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鼇頭」- 列子 湯問에「渤海之東 有大壑焉 中有三山 根無所連著常隨潮波 上下徃還 帝恐流於西極 乃使巨鼇六 擧首戴之」라 하였음.

자라[석천집(石川集二-一)2-1 26 페이지 / 전적]

古語에 六鰲가 六洲를 짊어지고 있다고 했다. 삼산이 진종하니 이 鰲가 가는가 보다 하는 말

자락(自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즐기는 것.

자락(自樂)[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즐기다.

자락(自樂)[아림가(娥林歌) 28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즐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