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조조(曹操)[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조(始祖)(155~220).자는 맹덕(孟德).황건의 난을 평정하여 공을 세우고 동탁(董卓)을 벤 후 실권을 장악하였다.208년에 적벽(赤壁) 대전에서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에게 크게 패하여 중국이 삼분된 후 216년에 위왕(魏王)이 되었다.권모에 능하고 시문을 잘하였다.
조조(曹操)[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조(始祖)(155~220). 자는 맹덕(孟德). 황건의 난을 평정하여 공을 세우고 동탁(董卓)을 벤 후 실권을 장악하였다. 208년에 적벽(赤壁) 대전에서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에게 크게 패하여 중국이 삼분된 후 216년에 위왕(魏王)이 되었다. 권모에 능하고 시문을 잘하였다.
조조(曹操)[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조(始祖)(155~220). 자는 맹덕(孟德). 황건의 난을 평정하여 공을 세우고 동탁(董卓)을 벤 후 실권을 장악하였음. 208년에 적벽(赤壁) 대전에서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에게 크게 패하여 중국이 삼분된 후 216년에 위왕(魏王)이 되었음.
조조(曹操)[녁대가(녁가) 51 페이지 / 전적]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조(始祖)(155~220). 자는 맹덕(孟德). 황건의 난을 평정하여 공을 세우고 동탁(董卓)을 벤 후 실권을 장악하였음. 208년에 적벽(赤壁) 대전에서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에게 크게 패하여 중국이 삼분된 후 216년에 위왕(魏王)이 되었음.
조조(躁躁)[창덕가2 97 페이지 / 전적]
성질 따위가 몹시 조급함.
조조(躁躁)[창덕가2 98 페이지 / 전적]
성질 따위가 몹시 조급함.
조조(躁躁)해서[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몹시 조급해서.
조조(阻阻)[흥비가 10 페이지 / 전적]
매우 초조함.
조조朝朝[ 1 페이지 / ]
아침마다.
조조모모(朝朝暮暮)[초한가라 11 페이지 / 전적]
아침저녁으로.
조조모모(朝朝暮暮)[한탄가 8 페이지 / 전적]
매일(每日) 아침과 매일(每日) 저녁이라는 뜻으로, 아침, 저녁으로 언제나 변(變)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조조모모(朝朝暮暮)[쟝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마다 저녁마다.
조조자락만조래(早潮自落晩潮來)[죽엽가(쥭엽가) 12 페이지 / 전적]
아침의 조수물이 밀려가자 곧바로 저녁의 조수물 들어오네.
조조자락만조래(早潮自落晩潮來)[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2 페이지 / 전적]
아침의 조수물이 밀려가자 곧바로 저녁의 조수물 들어오네.
조족지혈(鳥足之血)[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존(操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8 페이지 / 전적]
「操存」― 孟子 告子篇에 「孔子曰 操則存 舍則亡 出入無時 莫知其鄕 惟心之謂與」라는 대문이 있음.
조종(操縱)[신도가(臣道歌) 5 페이지 / 전적]
①마음대로 다루어 움직임. 자유(自由)로이 다룸. 현금(現今)에는 직접(直接) 손을 대거나 지시(指示)하지 않고, 결과적(結果的)으로 자기(自己) 뜻대로 사람을 움직이는 일에도 이름 ②특(特)히 비행기(飛行機)ㆍ자동차(自動車) 등(等)의 기계(機械)를 부리는 일.
조종(朝宗)[옥설가 42 페이지 / 전적]
강하(江河)가 바다를 향해 흐르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조종(祖宗)[옥설가 42 페이지 / 전적]
가장 근원이 되는 존재
조종(祖宗)[봉션화가 6 페이지 / 전적]
시조가 되는 조상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으뜸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