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조왕(竈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민간에서 부엌을 맡은 신을 이름. 늘 부엌에 있으면서 모든 길흉을 판단한다고 함.

조왕(趙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6 페이지 / 전적]

고조(高祖) 유방(劉邦)과 척부인 사이에서 낳은 아들.

조요(照耀)[춘몽가(츈몽가) 42 페이지 / 전적]

밝게 비쳐서 빛남.

조요(照耀)[조선충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밝게 비쳐서 빛남.

조요(照耀)[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밝게 비쳐서 빛남.

조요(照耀)[춘몽가(츈몽가) 42 페이지 / 전적]

밝게 비쳐서 빛남.

조요(調寥)커날[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조용한 가운데 알맞게 불어오거늘.

조요(調寥)커날[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조용한 가운데 알맞게 불어오거늘.

조용(照用)[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조용’에서 조(照)는 비추어 보는 것이고, 용(用)은 작용하는 것, 또는 행동하는 것임. 임제 선사는 수행자를 지도하는 방편으로 사조용(四照用), 즉 선조후용(先照後用)ㆍ선용후조(先用後照)ㆍ조용동시(照用同時)ㆍ조용부동(照用不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음.

조우[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온조를 도와 같이 내려온 신하

조욱(趙昱,1498-1557)[석천집(石川集二-三)2-3 157 페이지 / 전적]

조선 연산,명종 때의 학자. 자는 경양(景陽), 호는 우암(愚菴),세심당(洗心堂).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의 문인. 명종 때에 성수침(成守琛),조식(曺植) 등과 함께 현사(賢士)로 뽑혀 내섬시 주부(內贍寺主簿)가 되고, 장수현감(長水縣監)을 지냈다. 시문과 서화에 능했으며, 서경덕,이황 등 명사들과 교유했다.

조운(朝雲)[북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에 낀 구름.

조운(趙雲)[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한(漢)나라 조자룡(趙子龍)을 말하며, 유비(劉備)가 조조(曹操)와의 싸움에서 패하여 달아나자, 조자룡이 유비의 부인을 보호하여 무사하였다는 얘기.

조원(調元)[삼강오륜가 서 8 페이지 / 전적]

선덕(善德) 등 으뜸이 되는 근본에 맞춤.

조원(調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2 페이지 / 전적]

「調元」-元氣를 調和한다는 뜻인데 孫公이 議政府右贊의 職에 있었기 때문임.

조월천(趙月川)[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월천(月川) 조목(趙穆). 이황(李滉)의 문인.

조월천(趙月川)[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월천(月川) 조목(趙穆). 이황(李滉)의 문인.

조위총(趙位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고려 중기의 문신(?~1176)으로 의종 24년(1170)에 정중부,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켜 의종을 폐하고 명종을 옹위한 후 전횡을 일삼자 절령 이북의 40여 개 성과 합세하여 군대를 일으켰으나 패하여 참형을 당했다.

조유(詔諭)[리행소챙가 27 페이지 / 전적]

웃사람이 아랫사람에게 깨우침.

조은 가사(家舍) 求치마소[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5 페이지 / 전적]

좋은 가옥(家屋) 구하지 마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