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조만영(趙萬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1 페이지 / 전적]

조선후기의 문신(1776~1846)으로 순조 19년(1819)에 딸이 세자빈이 되자 풍은부원군(豐恩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이후 풍양조씨의 중심인물로 안동김씨와 권력투쟁을 벌였음.

조만영(趙萬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8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1776~1846). 자는 윤경(胤卿). 호는 석애(石厓). 순조 19년(1819)에 딸이 세자빈이 되자 풍은 부원군(豐恩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이후 풍양 조씨의 중심인물로서 안동 김씨와 권력 투쟁을 벌였다. 저서에 ≪동원인물고(東援人物考)≫가 있다.

조만중(朝晩中)[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저녁으로.

조만해도[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작아도.

조만해도[여자행신가 9 페이지 / 전적]

작아도.

조매보[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조맹부(趙孟頫). 1254-1322. 중국 원(元)나라의 화가·서예가. 자 자앙(子昻). 호 집현(集賢)·송설도인(松雪道人). 시호 문민(文敏). 저장성[浙江省] 우싱현[吳興縣] 출생. 송나라 태조의 후손이면서도 원나라를 섬겼음. 당시의 대표적인 교양인으로서 정치·경제·시서화에 넓은 지식을 가졌으며, 특히 서화에 뛰어났음. 서예에서 당(唐)나라의 안진경(顔眞卿) 이래로 송나라에서 성행하였던 서풍을 배격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전형에 복귀할 것을 주장하

조매보[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조맹부(趙孟頫). 1254-1322. 중국 원(元)나라의 화가·서예가. 자 자앙(子昻). 호 집현(集賢)·송설도인(松雪道人). 시호 문민(文敏). 저장성[浙江省] 우싱현[吳興縣] 출생. 송나라 태조의 후손이면서도 원나라를 섬겼음. 당시의 대표적인 교양인으로서 정치·경제·시서화에 넓은 지식을 가졌으며, 특히 서화에 뛰어났음. 서예에서 당(唐)나라의 안진경(顔眞卿) 이래로 송나라에서 성행하였던 서풍을 배격하고, 왕희지(王羲之)의 전형에 복귀할 것을 주장하

조맹덕(曹孟德)[시절가 24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조. 황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으로써 두각을 나타내고 동탁이 죽은 뒤 헌제를 옹립하여 실권을 장악함. 조조(曹操)를 이름.

조맹덕(曹孟德)[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제1의 시인.“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 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킴.당시(唐詩)가 서정적인 데 대하여 그의 시는 철학적 요소가 짙었고 새로운 시경(詩境)을 개척.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됨.

조맹덕(曹孟德)[봉별가 48 페이지 / 전적]

삼국시대 위나라 시조 조조(曹操)를 말함.

조맹덕(曹孟德)[춘몽가(츈몽가) 22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조인 조조(曹操)의 자(字).황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으로써 두각을 나타내고 동탁이 죽은 뒤 헌제를 옹립하여 실권을 장악.화북 평정 후, 손권·유비의 연합군과 싸워 대패하여 그 세력이 강남(江南)에는 미치지 못함.뛰어난 문학가이기도 하여 이른바 건안문학(建安文學)의 흥륭(興隆)에 기여함.

조맹덕(曹孟德)[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조조. 맹덕은 조조의 자.

조맹덕(曹孟德)[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조조. 맹덕은 조조의 자.

조맹덕(曺孟德)[남여동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조조(曹操).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조.

조맹덕(曺孟德)[남여동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조조(曹操).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시조.

조맹부(趙孟頫)[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원나라의 화가·서예가·문인(1254~1322)으로, 자는 자앙(子昂), 호는 집현(集賢)·송설도인(松雪道人). 서화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나라의 사대가(四大家)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힘.

조맹부(趙孟頫)[자심운수가(심운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원나라의 화가, 서예가. 왕희지의 전형에 복귀할 것을 주장.

조맹부(趙孟頫)[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의 서예가.왕희지(主羲之)의 전아(典雅)한 서체에 대한 반동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남성적인 박력 속에, 균제미(均齊美)를 충분히 발휘한 글씨로 당대(唐代) 이후의 중국 서도(書道)를 지배함.해서·행서·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했고 많은 걸작을 남김.

조맹부(趙孟頫)[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원(元)나라 초기의 유명한 문인이자 유학자, 서화가.자는 자앙(子昻), 호는 집현(集賢) 또는 송설도인(松雪道人).절강(浙江) 출신.송설체(松雪體)의 창안자.

조면(阻面)[자경별곡 15 페이지 / 전적]

절교(절교). 교제를 끊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