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조 신생사(吊申生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2 페이지 / 전적]

「吊申上辭」- 晋獻公의 太子 申生을 말함. 처음에 獻公이 驪戎을 伐하여 驪姬를 얻었는데 괴임이 있어 아들 奚齊를 낳으니驪姬는 太子를 廢하고 자기의 所生인 奚齊를 세우고자하여 獻公에게 太子를 모함하여 죽였음.

조 양자(趙襄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4 페이지 / 전적]

「趙孟」―晋卿의 貴者임. 孟子告子篇에「趙孟之所貴 趙孟賤之」 라 하였음. 여기는 襄子를 가리킴.

조(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8 페이지 / 전적]

「淪漣綠淨」― 水雲亭의 물을 말함.

조, 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07 페이지 / 전적]

조, 회는 춘추 시대 작은 나라인데 고봉(高峯)이 자기의 재주가 원기만 못하다고 겸손하여 비유한 것이다.

조·송(趙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6 페이지 / 전적]

「趙宋」- 즉 趙匡胤의 宋으로 劉宋과 구별하기 위하여 나온 말임.

조ㆍ사(曺ㆍ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6 페이지 / 전적]

「曺謝」- 魏의 曺植과 晋의 謝靈運을 말함.

조가(朝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朝歌」- 紂의 故都인데 衛는 본시 河北 朝歌의 東, 淇水의 北,百泉의 南에 都를 定하였음.

조가공하승평락(朝家共賀昇平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조정에서는 모두 태평성대를 축하하건만.

조가튼[흥비가 10 페이지 / 전적]

조급한 심정. 초조한 생각.

조간자(趙簡子[인여가(引轝歌) 6 페이지 / 전적]

원래 '5패'중 하나였던 진나라의 대부였지만 훗날 모국인 진나라를 제패하고 조나라를 세워 '전국 7웅'의 자리에 오름.

조간자(趙簡子[인여가(引轝歌) 6 페이지 / 전적]

원래 '5패'중 하나였던 진나라의 대부였지만 훗날 모국인 진나라를 제패하고 조나라를 세워 '전국 7웅'의 자리에 오름.

조간자(趙簡子[인여가(引轝歌) 6 페이지 / 전적]

원래

조강(烏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9 페이지 / 전적]

「烏江」― 項羽는 固陵에서 敗戰하여 烏江에서 自刎而死하였음.

조강(糟糠)[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조강지처(糟糠之妻)는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조강지처(糟糠之妻[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苦生)을 같이 해온 아내란 뜻으로, 곤궁(困窮)할 때부터 간고(艱苦)를 함께 겪은 본처(本妻)를 흔히 일컬음.

조강지처(糟糠之妻[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苦生)을 같이 해온 아내란 뜻으로, 곤궁(困窮)할 때부터 간고(艱苦)를 함께 겪은 본처(本妻)를 흔히 일컬음.

조강지처(糟糠之妻)[팔도안희가 14 페이지 / 전적]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때운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어려울 때에 고생을 함께 한 아내를 말한다.

조강지처(糟糠之妻)[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9 페이지 / 전적]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온 아내.

조강지처(糟糠之妻)[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에 나오는 말.

조갱(調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調羹」―和羹과 같은 말임. 書經 說命에「若作和羹 爾惟鹽梅」라는 대문이 있으므로 宰相에게 쓰는 말이 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