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조모(朝暮)[종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침저녁.

조모상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아침 저녁으로 마주 대함.

조모상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아침 저녁으로 마주 대함.

조문(弔文)[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생전의 공덕을 기리고 그의 명복을 비는 글.

조문(朝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1 페이지 / 전적]

「朝聞」― 論語 里仁篇에「朝聞道 夕死可矣」라는 대문이 있음

조문(竈門)[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왕문(?王門)을 줄여서 쓴 표현으로 부엌을 맡는 신. 늘 부엌에 있어 그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함.

조문도 석사가의(朝聞道 夕死可矣)[황남별곡(黃南別曲) 17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이인(里仁)〉편에서 공자(孔子)가 한 말로,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참된 이치를 깨달았으면 죽어도 여한이 없다는 말.

조문명(趙文命)[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의 문신(1680~1732)으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풍릉부원군(豊陵府院君)에 봉하였음.

조문명(趙文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2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문신.《경종실록》편찬에 참여했으며, 도승지 · 경연동지사 · 어영대장에 이어 대사성 · 이조참판을 지냈다. 이인좌의 난을 평정해 세운 공으로 분무공신 2등에 책록되고 풍릉부원군에 책봉되었다. 문집에《학암집》이 있고, 글씨로는《삼충사사적비》,《북백곽재우표》가 있다.

조물(造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2 페이지 / 전적]

「亭毒」―老子道德經에「亭之毒之 蓋之覆之」라 했는데 이에 대해 王弼의 註는 「亭은 그 品形을 이름이요, 毒은 그 成質을 이름이다」했고 傳奕의 註는 「亭은 凝結의 뜻이요, 毒은 安의 뜻이니 亭之毒之는 가을때를 가르킴이요 蓋之覆之는 겨울때를 가르킨 것이다」라 했다.

조물(造物)[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인 조물주(造物主)를 가르킴.

조물(造物)[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인 조물주(造物主)를 말함.

조물(造物)[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인 조물주(造物主)를 말함.

조물(造物)[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인 조물주(造物主)를 가르킴.

조물(造物)[경노의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물주가 만든 만물.

조물(造物)[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물주(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

조물(造物)[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조물주.

조물(造物)[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조물주.

조물(造物)[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물주, 즉 우주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을 일컫는 말.

조물(造物)[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조물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