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조순태(趙順泰)[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미상.

조술요순(祖述堯舜)[경화가(警和歌) 12 페이지 / 전적]

『중용』30장에 “중니 조술요순 헌장문무 상률천시 하습수토(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襲水土)-공자는 요임금과 순임금을 조종으로 이어받았고 문왕과 무왕의 법도을 밝혔으며, 위로는 천시(자연)를 그대로 법으로 본받으시고 아래로는 물과 흙의 이치를 좇았다.”하였다. 공자는 요순(堯舜)의 ‘조술자(祖述者)란 말임.

조술요순(祖述堯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요임금과 순임금의 말씀을 근본으로 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보충ㆍ서술함.

조술요순(祖述堯舜)[경화가(警和歌) 12 페이지 / 전적]

『중용』30장에 “중니 조술요순 헌장문무 상률천시 하습수토(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襲水土)-공자는 요임금과 순임금을 조종으로 이어받았고 문왕과 무왕의 법도을 밝혔으며, 위로는 천시(자연)를 그대로 법으로 본받으시고 아래로는 물과 흙의 이치를 좇았다.”하였다. 공자는 요순(堯舜)의 ‘조술자(祖述者)란 말임.

조술요순(祖述堯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3 페이지 / 전적]

요임금과 순임금의 말씀을 근본으로 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보충ㆍ서술함.

조술요순(祖述堯舜)[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요임금과 순임금의 사상, 심통, 법통을 근본으로 함.

조술요순(祖述堯舜)[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요임금과 순임금의 사상, 심통, 법통을 근본으로 함.

조승훈(祖承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명나라 말기의 요동 부총병이다. 임진왜란 당시 명 우군 부총병으로 3000명의 군사를 데리고 1차 원병 사령관으로 참전했다. 그러나 제2차 평양 전투에서 일본군의 매복술에 크게 패했고 이후 겨우 수십 기의 병사만 데리고 요동으로 돌아갔다. 그러다가 제4차 평양 전투에서 부총병으로 참전하여 승리했다.

조식[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정인홍, 김우옹, 정구 등을 제자로 둔, 조선 중기의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룬 학자

조신(操身)[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6 페이지 / 전적]

몸가짐을 조심하는 것.

조신금일후(朝臣今日後)[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6 페이지 / 전적]

조정 대신들 오늘 이후로는.

조신생사(吊申生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39 페이지 / 전적]

本集 卷二의 吊申生辭에 나타나 있음.

조신유의(朝臣有義)[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

조실(早失)[답사향곡(답향곡) 6 페이지 / 전적]

일찍 여읨.

조실(早失)[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려서 잃음.

조실부모(早失父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일찍 부모님을 여읨.

조실부모(早失父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일찍 부모님을 여읨.

조실부모(早失父母)[권학가 6 페이지 / 전적]

어려서 부모를 여읨.

조실부모(早失父母)[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어려서 부모를 여읨.

조실부모(早失父母)[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어려서 부모를 여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