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적벽강추야월(赤碧江秋夜月)[청춘사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적벽강에 뜬 가을 달.

적벽부[석촌별곡 13 페이지 / 전적]

.

적벽부(赤壁賦)[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필화(筆禍) 사건으로 죄를 얻어 황저우[黃州:湖北省]에 유배되었던 소동파가 1082년(원풍 5)의 가을(7월)과 겨울(10월)에 황저우성 밖의 적벽에서 놀다가 지은 작품. 7월에 지은 것을 《전(前)적벽부》, 10월에 지은 것을 《후적벽부》라 함.

적벽부(赤壁賦)[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宋)나라 때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글로 양자강(揚子江)을 유람하며, 적벽대전(赤壁大戰)을 회상하고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사색을 표현한 것이다.

적벽부(赤壁賦)[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壬戌之秋 七月旣望 蘇子與客 泛舟遊於赤壁之下의 구절

적벽야(赤壁夜)[시절가 24 페이지 / 전적]

적벽강가의 밤.

적벽전(赤壁戰)[활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삼국시대인 208년, 손권과 유비의 소수 연합군이 조조의 대군을 적벽에서 무찌른 전쟁으로 적벽대전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적벽전(赤壁戰)[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인 208년에 적벽에서 조조(曹操)가 손권(孫權)․유비(劉備)의 연합군과 싸웠던 전투임. 이 전투에서 조조군은 크게 패배하고 후퇴하였는데, 이 결과 손권의 강남 지배가 확정되고 유비도 형주(荊州

적병강(赤壁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7 페이지 / 전적]

「赤壁夢仙」― 蘇軾의 後赤壁賦에 「夢一道士 羽衣翩蹮 過臨皐之下 揖予而言 曰赤壁之遊樂乎」라 하였음

적부(赤符)[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8 페이지 / 전적]

「赤符」― 赤靈符의 略稱인데 見上

적빈(赤貧)[당산조션가 11 페이지 / 전적]

몹시 가난함.

적빈(赤貧)[어와따님요(어와님요) 2 페이지 / 전적]

몹시 가난함.

적빈(赤貧)[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몹시 가난함.

적빈(赤貧)[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7 페이지 / 전적]

아주 가난하여 아무 것도 없음.

적빈(赤貧)[합강정가(合江亭歌) 11 페이지 / 전적]

아주 가난하여 아무 것도 없음.

적사자(謫死者)[시절가 20 페이지 / 전적]

귀양 간 곳에서 죽은 사람.

적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畵藍衫」-逐鬼의 一種인데 世俗에 傳하는 鐘馗의 壁鬼事를引用한 것임. 天中記에『唐名皇이 瘧疾을 걸려 고생하는데 晝夢에 하나의 大鬼가 跛帽에 藍衫을 입고 角帶를고서 小鬼를 잡아 씹어먹으며 自稱하기를 「終南進士鍾馗」라 했다.

적삼[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윗도리에 입는 홑옷.

적삼[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저고리 속에 받쳐 입는 옷으로 저고리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 입으며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닮.

적삼[서가여래가사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윗도리에 입는 홑옷. 모양은 저고리와 같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