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저잔(低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낫고 쇠잔(衰殘)하여.

저잔(低殘)야[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낫고 쇠잔(衰殘)하여.

저저(這這)[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이것 저것.

저저(這這)[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4 페이지 / 두루마리]

이것 저것.

저저(這這)이[망부가 13 페이지 / 전적]

있는 사실대로 낱낱이 모두.

저저이[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제(濟濟)히. 삼가고 조심하여 엄숙하게.

저조아서 그러가[효봉구고치산가 8 페이지 / 전적]

저 좋아서 그러할까. 원본에는 ‘저조가서’ 로 되어 있음.

저주[석천집(石川集二-四)2-4 57 페이지 / 전적]

中國 安徽省에 있는 滁縣.宋代의 歐陽修가 이곳 知州로 있을 때 <醉翁亭記>를 씀.

저축(貯蓄)[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절약하여 모아두다.

저축(貯蓄)[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절약하여 모아두다.

저치[경영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저치다의 어근. 거리끼거나 얽매이다 라는 뜻.

저포(紵布)[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모시. 모시풀 껍질로 짠 피륙. 북포(北布) : 조선시대 함경도에서 생산되던, 올이 가늘고 고운 베. 세백목(細白木) : 올이 가늘고 고운 무명.

저항(抵抗)[백발가(白髮歌) 8 페이지 / 전적]

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팀.

저호(紵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6 페이지 / 전적]

「紵縞」―朋友間의 饋遺를 말함. 春秋時「吳季札이 鄭子産에게 縞帶를 주니 子産은 紵衣로써 答했다」라 하였음. 左傳에 보임.

저훼(沮毁)[경화가(警和歌) 7 페이지 / 전적]

막고 상하게 함.

저훼(沮毁)[경화가(警和歌) 7 페이지 / 전적]

막고 상하게 함.

저훼(詆毁)[론학가권지일 11 페이지 / 전적]

비방하고 헐뜯음.

저훼(詆毁)[론학가권지일 11 페이지 / 전적]

비방하고 헐뜯음.

저[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제 때. 알맞을 때.

저[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저 처사(處事).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