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저력(樗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1 페이지 / 전적]
「樗櫟」― 不材의 木을 이름 莊子逍遙遊에 「吾有大樹 人謂之樗其大本擁腫而不中繩墨 其小枝卷曲而不中䂓矩 立之塗 匠者不顧. 匠石之齊 見櫟社樹 其大蔽牛 是不材之木也 無所可用 故能若是之壽」라 하였음.
저륵(樗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4 페이지 / 전적]
莊子 逍遙遊에「吾有大樹 人謂之樗 其大∝數千牛 ∝之百圍 匠石不顧 日散木也 是不材之木也」라 하였다. 그래서 서로 ∝用하여 樗櫟을 不材라 하여 無用의 비유로 삼았음.
저를 삼아[화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젓가락 삼아
저무는 해를 보며 쌍궐을[석천집(石川集二-二)2-2 129 페이지 / 전적]
궁문 양쪽의 누각을 가리키는데, 황제가 사는 곳을 뜻한다.
저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4 페이지 / 전적]
「暮雲渭北」―兩地로 相分됨을 말한 것임. 杜莆의 「春日憶李白」詩에 나온 것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저백(楮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89 페이지 / 전적]
「楮白」―종이의 別稱임.韓愈의 毛穎에 보임.中山公子,弘農公, 陳玄, 楮白을 文房의 四友라 稱함.
저보(邸報)[송강집(松江集二)2 179 페이지 / 전적]
관보(官報)를 이름.
저사(儲嗣)[송강집(松江集七)7 131 페이지 / 전적]
세자(世子)를 가리킴
저사모피(抵死謀避)[장씨부인역사라 17 페이지 / 전적]
죽을 지경에 이르도록 피하기를 꾀함.
저사모피(抵死謀避)[장씨부인역사라 17 페이지 / 전적]
죽을 지경에 이르도록 피하기를 꾀함.
저산(滁山)[석촌별곡 4 페이지 / 전적]
구양수가 쓴 <취옹정기(醉瓮亭記)>의 배경이 된 중국 안휘성 저주 지방의 산.
저생(沮生)[일회심곡(一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저승’을 잘못 쓴 것임.
저생원문(苴生轅門)[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저생(沮生)은 ‘저승’을 잘못 쓴 것이며, 원문(轅門)은 군영(軍營)이나 영문(營門)을 이르던 말.
저성(杵聲)[형제붕우소회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다듬이질과 절굿공이 소리.
저숭한[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저 흉한.
저승사자[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염라대왕의 명을 받고 죽은 사람의 넋을 데리러 온다는 심부름꾼.
저승에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8 페이지 / 전적]
「如見女」-瀟灑軒의 子婦는 바로 선생의 女인데 早卒하였음
저앙低昻[ 1 페이지 / ]
낮아졌다 높아졌다 하는 것. 또는 낮추었다 높였다 하는 것.
저약(低弱)[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산세가 낮고 미약하다는 뜻.
저약(低弱)[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산세가 낮고 미약하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