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적덕후손(積德後孫)[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13 페이지 / 전적]

덕을 쌓아서 얻은 후손

적덕후손(積德後孫)[권도가(勸道歌) 2 페이지 / 전적]

덕을 쌓아서 얻은 후손

적도[석천집(石川集二-二)2-2 199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폭군 주(紂)를 목벨 때에 썼던 칼이다. 주나라의 보물 가운데 하나이다. (주나라 성왕이 세상을 떠나자) 월나라에서 바친 구슬을 다섯 겹으로 해서 놓고, 선왕의 보물도 진열하였다. 붉은 칼과 큰 교훈들과 큰 구슬과 위가 둥근 구슬과 위가 뾰족한 구슬을 서쪽 행랑에 놓았다. -<<서경>> <고명(顧命)>

적력荷歷[ 1 페이지 / ]

적막荷寞. 고요하고 쓸쓸함

적로(滴露)[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방울방울 맺혔거나 떨어지는 이슬.

적료寂蓼[ 1 페이지 / ]

고요하고 쓸쓸한 것

적리(赤痢)[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2 페이지 / 전적]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이질(痢疾).

적리(赤痢)[호남비결(湖南秘訣) 18 페이지 / 전적]

급성(急性) 전염병(傳染病)인 이질(痢疾)의 한 가지로 열대ㆍ아열대ㆍ온대에 많으며, 적리균이 섞인 음식물을 먹으면 생기는 대장(大腸)의 질병(疾病).

적립(赤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9 페이지 / 전적]

「赤立」 ― 㝐虛하여 所有가 없다는 뜻임. 宋史 喬行簡傳에 「지금백성들은 垂磬의 室이 많고 州縣에는 赤立의 帑이 많다」하였고, 元好問의 遊黃華山詩에 「山木赤立無春容」이라 하였음.

적막(寂寞)[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6 페이지 / 전적]

사방이 고요하여 쓸쓸한 지경.

적막(寂寞)[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함.

적막(寂寞)[허후전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함, 의지할데 없이 외로움을 이르는 말.

적막강산(寂寞江山)[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적적하고 쓸쓸한 풍경을 이르는 말. 또는 앞일을 내다볼 수 없게 캄캄하고 답답한 지경이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적막강산(寂寞江山)[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아주 적적하고 쓸쓸한 풍경을 이르는 말.

적막공산(寂寞空山)[권왕가 60 페이지 / 전적]

고요하고 쓸쓸하여 적막한 깊은 산.

적막공산(寂寞空山)[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한 깊은 산중.

적막적원(寂寞積怨)[후원초당 봄이듯이 8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하고 오래 쌓인 원망.

적막화산(寂寞花山)[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한 화산.

적막화산(寂寞花山)[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요하고 쓸쓸한 화산.

적멸(寂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3 페이지 / 전적]

「寂滅」―佛家는 淸淨과 寂滅을 主로 삼는다는 것을 이름。蘇軾詩에 『中有至人談寂滅 悟者悲涕迷者手自捫』이란 句가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