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흥(長興)[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남 남단에 있는 지명으로 본래는 백제의 오차현(烏次舷)이며 신라 경덕왕 때 오아현(烏兒舷), 고려 초기에 안정현(安定舷)이었다. 인종이 공준태후(恐遵太后) 임씨(任氏)의 고향이라 하여 장흥으로 개칭하여 부(府)로 승격하였다. 원종 때는 회주목(懷州牧), 조선 태종 13년에는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세조 때에는 진(鎭)을 설치했으며, 1895년 군(郡)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장흥(長興)[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군으로 서울 광화문에서 정남쪽으로 내려오면 도착하는 나루라는 뜻의 정남진(正南津)이 있다.

장흥(長興)[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군으로 서울 광화문에서 정남쪽으로 내려오면 도착하는 나루라는 뜻의 정남진(正南津)이 있다.

장희빈(張禧嬪)[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0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의 빈(?~1701)이며 경종의 어머니. 숙원(淑媛)으로 있다가 자신이 낳은 왕자가 원자(元子)로 책봉되자 희빈으로 올랐음.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자 정비(正妃)가 되었으나, 갑술옥사 후 무고(巫蠱)의 옥(獄)에 연루되어 죽었음.

장희빈(張禧嬪)[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9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의 빈(?~1701). 경종의 어머니이다. 숙원(淑媛)으로 있다가 자신이 낳은 왕자가 원자(元子)로 책봉되자 희빈으로 올랐다. 기사환국이 일어나자 정비(正妃)가 되었으나, 갑술옥사 후 무고(巫蠱)의 옥(獄)에 연루되어 죽었다.

장희재(張希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0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무신(?~1701). 장 희빈의 오빠로, 총융사에 올랐다. 인현 왕후가 복위되자 갖은 음모로 해하려다가 장 희빈과 함께 처형되었다.

장은[상사곡가사(상곡가사) 5 페이지 / 전적]

장낭(壯郎)은. 낭군(郎君)은. 사내를 뜻하는 말.

장도록[셕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장래까지. 훗날까지.

장이[상사곡가사(상곡가사) 10 페이지 / 전적]

장대(長大)하니.

[상사별곡(상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이 나 있어서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상사별곡(상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이 나 있어서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북쳔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길이 나 있어서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높은 산의 고개.

[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높은 산의 고개.

재(灰)[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에 타고 남은 가루.

재(灰)[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에 타고 남은 가루.

재(灾)[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수재(水災)나 한재(旱災) 등으로 전지(田地)에 피해를 입었을 경우 받게 되는 조세(租 稅)감면의 혜택.

재(灾)[거창가 16 페이지 / 전적]

수재(水災)나 한재(旱災) 등으로 전지(田地)에 피해를 입었을 경우 받게 되는 조세(租 稅)감면의 혜택.

재(灾)[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수재(水災)나 한재(旱災) 등으로 전지가 피해를 입었을 경우 받게 되는 조세 감면의 혜택.

재(灾)[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수재(水災)나 한재(旱災) 등으로 전지가 피해를 입었을 경우 받게 되는 조세 감면의 혜택.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