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춘이라[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사시장춘(四時長春). 늘 봄과 같음.

장춘장하(長春長夏)[경노의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장춘은 늘 봄과 같음. 장하는 해가 긴 여름. 또는 음력 6월

장쾌하다[무제(▩▩▩▩) 20 페이지 / 두루마리]

가슴이 벅차도록 장하고 통쾌하다.

장쾌하다[무제(▩▩▩▩) 20 페이지 / 두루마리]

가슴이 벅차도록 장하고 통쾌하다.

장탄다우(長灘多雨)[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긴 여울에 내린 많은 비인 듯함.

장탄단우(長嘆短吁)[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7 페이지 / 전적]

긴 탄식과 짧은 한숨.

장탄단우(長嘆短吁)[차운 8 페이지 / 전적]

길게 한숨 쉬기도 하고 짧게 탄식하기도 함.

장탄단우(長歎短憂)[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긴 탄식과 잛은 걱정.

장탄식(長歎息)[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길고 긴 탄식.

장탄식(長歎息)[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7 페이지 / 전적]

긴 한숨을 지으며 깊이 탄식하는 일.

장택상(張澤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4 페이지 / 전적]

정치가(1893~1969). 호는 창랑(滄浪). 광복 후 수도 경찰청장을 지냈으며, 정부 수립 후에 초대 외무부 장관이 되었고 국무총리를 역임하였으며, 5ㆍ16 군사 정변 후에는 재야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장판각(藏板閣)[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전교당(典敎堂) 동편에 위치한 서원의 출판소로 목판을 보관하는 곳.

장판각(藏板閣)[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전교당(典敎堂) 동편에 위치한 서원의 출판소로 목판을 보관하는 곳.

장판각(藏板閣)[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해인사 장경판전(藏經板殿)을 이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임. 크기와 양식이 비슷한 2채의 건물이 남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남쪽 건물은

장판교(長坂橋)[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무장인 장비(張飛).자는 '익덕(益德)'.유비·관우와 함께 의형제를 맺었고 후한 말의 많은 전쟁에서 용맹을 떨침.유비의 익주 공략 때 큰 공을 세워 파서태수가 되고 유비가 제위에 오르자 거기장군·사례교위에 임명됨.

장판교(長坂橋)[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조조(曹操)가 형주(荊州)를 공격해 오자 장비(張飛)가 당양 장판교(長坂橋) 위에서 기병 20기를 데리고 “내가 장익덕이다”라고 일갈하여 추격해 오는 조조군을 물리친 일화가 유명함.

장판교(長坂橋)[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조조(曹操)가 형주(荊州)를 공격해 오자 당양 장판교(長坂橋) 위에서 기병 20기를 데리고 "내가 장익덕이다"라고 일갈하여 추격해 오는 조조군을 물리친 일화에 나오는 다리.

장판교(長板橋)[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유비가 조조의 대군을 물리친 곳. 형주에 있던 유비가 대군에 쫓겨 형세가 급박해졌을 때, 장판교(長坂橋) 위에서 "내가 장익덕이다" 하고 일갈하여 위군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음.

장판교(長板橋)[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유비가 조조의 대군을 물리친 곳. 형주에 있던 유비가 대군에 쫓겨 형세가 급박해졌을 때, 장판교(長坂橋) 위에서 "내가 장익덕이다" 하고 일갈하여 위군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음.

장판방(壯版房)[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장판지로 바닥을 바른 방.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