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주호접(莊周胡蝶[화전가(화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장자가 꿈속에서 나비를 만난 것을 말함.

장주호접(莊周胡蝶[화전가(화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장자가 꿈속에서 나비를 만난 것을 말함.

장주호접(莊周胡蝶)[벽천가 19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어 즐겁게 놀았다는 내용.

장준(張俊)[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38 페이지 / 전적]

남송의 장수. 금나라의 내침을 막는데 큰 공을 세우고, 그 공으로 추밀사에 올랐다. 후일 악비(岳飛)의 옥사(獄事)에 관여하여 세인들로부터 비루하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장중(場中)[남자답가라(남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시험장.

장중(張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7 페이지 / 전적]

「張仲」-周宣王때 사람인데 父母兄弟에게 孝友가 극진하였으므로 이를 들어 丁熿의 孝友에 비한 것임. 詩經 小雅 六月에『侯誰在矣 張仲孝友』라는 句가 있음.

장중(掌中)[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장악중(장악중). 자기 세력 범위의 안을 일컫는 말.

장중(掌中)[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움켜쥔 손아귀의 안.

장중(掌中)[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5 페이지 / 전적]

손바닥 안.

장중(掌中)[여행록이라(여녹이라) 11 페이지 / 전적]

손바닥 안.

장중(掌中)[북쳔가 39 페이지 / 두루마리]

움켜진 손아귀의 안.

장중(掌中)의 보옥(寶玉)[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손 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 귀하고 보배로운 존재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장중(掌中)의 보옥(寶玉)[헌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손 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 귀하고 보배로운 존재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장중보옥(掌中寶玉)[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손안에 든 보배로운 옥이라는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중보옥(掌中寶玉)[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중주(掌中珠)[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장중보옥(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지(壯紙)[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9 페이지 / 전적]

두껍고 질기며 품질이 썩 좋은 종이

장지(障-)[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방과 방 사이, 또는 방과 마루 사이에 칸을 막아 끼우는 문. 미닫이와 비슷하나 운두가 높고 문지방이 낮다.

장지일(長至日)[송강집(松江集四)4 4 페이지 / 전적]

하지일(夏至日)을 이름. 禮記에 「夏至之日日長至」

장지화(張志和)[옥산가라 54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당(唐)나라 때의 선인(仙人). 물 위에 자리를 깔고 그 위에서 술을 마시면, 그의 머리 위에서는 학(鶴)이 춤추었다 함. 동양화(東洋畫) 화제(畫題)로 쓰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