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자(長子)[거취가(去取歌) 5 페이지 / 전적]

맏아들.

장자(長者)[권왕가 31 페이지 / 전적]

큰 부자를 점잖게 이르는 말.

장자(長者)[경장가(敬長歌) 3 페이지 / 전적]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어른.또는 덕망이 뛰어나고 경험이 많아 세상일에 익숙한 어른.

장자(長者)[유례가(幼禮歌) 5 페이지 / 전적]

윗사람, 어른. 덕망(德望)이 있는 노성한 사람

장자(長者)는 물을 들어 관수(盥漱) 하소서 청(請)하고[사친가(事親歌) 31 페이지 / 전적]

장자는 물을 받들어서 세수하기를 청하고.

장자(長者)는 와석(卧席)을 받들며 하지(何趾) 하실지 청(請)하고[사친가(事親歌) 33 페이지 / 전적]

장자는 자리를 받들고 어느 쪽으로 발을 둘 것인가를 여쭈어 보며.

장자발복(長子發福)[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8 페이지 / 전적]

큰 아들이 발복한다.

장자방[회경가 3 페이지 / 전적]

한나라의 고조 유방의 책사였던 장량(張良)

장자방(張子房)[원유가 5 페이지 / 전적]

한 고조의 충신이었던 장량(張良)의 자(字).

장자방(張子房)[초한가(楚漢歌) 3 페이지 / 전적]

장량(張良)의 호는 자방(子房)으로 한(漢)나라 때 한(韓)지방 사람이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진(秦)나라가 조국인 한나라를 멸망시키자 자객을 시켜 박량사(博浪沙)에서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나중에 유방(劉邦)의 모신(謀臣)이 되어 진나라와 초(楚)나라를 멸망시키고 유후(留侯)에 봉해졌다.

장자방(張子房)[베틀가라 3 페이지 / 전적]

장량(張良)의 호는 자방(子房)으로 한(漢)나라 때 한(韓)지방 사람이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진(秦)나라가 조국인 한나라를 멸망시키자 자객을 시켜 박랑사(博浪沙)에서 진시황을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나중에 유방(劉邦)의 모신(謀臣)이 되어 진나라와 초(楚)나라를 멸망시키고 유후(留侯)에 봉해졌다.

장자방(張子房)[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인 장량(張良).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한 선견지명이 있는 책사.

장자방(張子房)[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인 장량(張良).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한 선견지명이 있는 책사.

장자방(張子房)[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인 장량(張良).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장자방(張子房)[명륜가(明倫歌) 9 페이지 / 전적]

자방은 장량(張良)의 자(字)이며, 한고조(漢高祖)를 도와 항우(項羽)를 멸하고 천하 통일을 이루었는데, 만년에 황로(黃老)를 좋아하여 신선 벽곡(辟穀)의 술법을 닦았음.

장자방(張子房)[초한가라 4 페이지 / 전적]

장량(長良). 한나라의 정치가. 한나라 건국의 3걸 중 한 사람.

장자방(張子房)[거창가 10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의 공신 장량(張良)으로 소하(蕭何) ‧ 한신(韓信)과 함께 한나라 삼걸(三傑). 자는 자방(子房)임. 집안이 대대로 한(韓)의 대신이었는데, 한나라가 망하자 그 원수를 갚고자 박랑사(博浪沙)에서 역사(力士)를 시켜 철퇴(鐵槌)로 진시황을 쳤으나 실패함. 그 뒤에 하비(下邳)의 이상(圯上)에서 황석공으로부터 병서를 받고, 한고조 유방의 모신(謀臣)이 되어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초나라를 평정하여 한업(漢業)을 세웠는데, 그 공으로 유후(留侯)에

장자방(張子房)[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장량(張良).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함.

장자방(張子房)[무제(▩▩▩▩)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나라의 건국 공신으로 이름은 장량(張良)이다. 한나라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여, 소하·한신과 함께 한나라 창업의 삼걸(三傑)로 일컬어진다.

장자방(張子房)[대명복수가(명복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 고조 유방의 공신인 장량(張良). 진승 · 오광의 난이 일어났을 때 유방의 진영에 속하였으며, 후일 항우와 유방이 만난 '홍문의 회'에서는 유방의 위기를 구한 선견지명이 있는 책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