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성(長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7 페이지 / 전적]
「長城」― 郡名인데 先生의 故鄕임. 中國의 萬里長城이 있으므로 借用한 것임.
장성(長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3 페이지 / 전적]
「長城」―檀道濟는 南北朝 宋의 高平人인데 建武軍事에 參하여太尉에 옮겼다. 武帝 文帝때에 여러번 奇功을 세워 威名이 너무 重하자 朝廷이 疑畏하여 收誅하니 道濟는 見收하자 幘을 벗어 땅에 던지며 「마침내 네의 萬里長城을 무너뜨린다」라 하였음.
장성(長城)[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8 페이지 / 전적]
진시황이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았던 만리장성을 말함.
장성(長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천리장성, 고려장성을 이르는 것으로 고려 덕종 2년(1033)에 평장사 유소가 여진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쌓은 성이다. 압록강 어귀에서 영원(寧遠) 등 열네 고을을 거쳐 함흥의 도련포에 이른다.
장성(長成)[충효가(忠孝歌) 26 페이지 / 전적]
다 자람.
장성(長成)[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자라서 어른이 됨.
장성(長成)[고분가 4 페이지 / 전적]
자라서 어른이 됨.
장성(長成)[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1 페이지 / 전적]
①자라남 ②어른이 됨.
장성(長成)[연행별곡(연별곡) 21 페이지 / 전적]
①자라남 ②어른이 됨.
장성(長成)[무제(양신택졍하여) 9 페이지 / 전적]
자라서 어른이 됨.
장성(長星)[한양가라 79 페이지 / 전적]
혜성(彗星).
장성의 샘굴에서 말에게 물을 마시게 하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191 페이지 / 전적]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은 악부에 실린 비파 곡조의 이름이다. 수자리를 살러 가는 나그네가 만리장성에 이르러 샘이 나오는 굴에서 말에게 물을 먹인다는 뜻인데, 그 아내가 남편의 괴로움을 생각하며 노래한 것이다.
장성일련(長城一連)[명궁처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긴 산맥이 하나로 이어짐.
장성일면 용용수(長城一面溶溶水) 대야동두 점점산(大野東頭點點山)[연행별곡(연별곡) 6 페이지 / 전적]
장성(長城) 한쪽에는 물이 넘실넘실 흐르고, 넓은 들 동쪽에 점점이 산이 보이네.고려시대 때 김황원(金黃元)이 지은 「부벽루(浮碧樓)」 시로서, 김황원(金黃元)은 이 두 구절을 짓고는 더 이상 좋은 시구(詩句)를 지을 수 없어서 포기하였다고 함.
장소長嘯[ 1 페이지 / ]
길게 읊조리다.
장소長嘯[ 1 페이지 / ]
긴 휘파람 불다.
장손(臧孫)[송강집(松江集七)7 51 페이지 / 전적]
노(魯)나라 대부(大夫) 장손진(藏孫辰)인데 공자(孔子)가 그를 삼불인 삼부지(三不仁三不智)라 평하였다.
장수[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2 페이지 / 전적]
원문에는 ‘將帥’가 ‘將師’로 되어 있음.
장수[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제 2차 진주성 싸움에서 김천일, 황진, 최경회 등이 장렬하게 순절함
장수(張宿)[한흥가라 80 페이지 / 전적]
장성(張星). 천선(天璇).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스물여섯째 별자리의 별들.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둘째 별. 큰곰자리의 베타성(beta星)으로 밝기는 2.0등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