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6 페이지 / 전적]
「黼黻」- 문장을 말함. 皇猶를 黼黻하고 협찬한다는 뜻임
장신(將臣)[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대장(大將)
장신(藏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숨김.
장신(藏身)[죽장가(竹杖歌) 6 페이지 / 전적]
몸을 감춤.
장실(將失)[자직가(子職歌) 3 페이지 / 전적]
장차 잃어버림.
장씨(張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張氏」- 房氏의 誤인 듯함 北齊書에 「房景伯이 母가 歿하여 居喪中에 鹽菜를 먹지 않은 까닭에 마침내 水病이 되어 積年을 낫지 않았다」하였음.
장악(張樂)[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음악을 베풂.
장악원(掌樂院)[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궁중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무용에 관한 일을 담당한 관청.
장악원(掌樂院)[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장악원(掌樂院)[뎡슝샹회방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朝鮮) 때 음률(音律)에 관(關)한 사무(事務)를 맡아보던 관청(官廳).
장악원(掌樂院)[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장악 기관의 하나.조선 시대에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연산군 때 전악서를 고친 것이다.
장악원(掌樂院)[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장악 기관의 하나. 조선 시대에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연산군 때 전악서를 고친 것이다.
장악원(掌樂院)[흥비가 8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음악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장안[팔역가(八域歌) 13 페이지 / 전적]
한나라와 당나라의 수도인 섬서성 서안
장안 만호(長安萬戶)[사친가1(思親歌(一)) 4 페이지 / 전적]
서울의 썩 많은 집들. 장안(長安) : 중국의 옛 수도 이름에서 연유한 말로서 ‘서울’을 일컬음
장안(長安)[석천집(石川集二-三)2-3 78 페이지 / 전적]
장안사(長安寺). 금강산에 있는 절로 신라 법흥왕 때에 지었다.
장안(長安)[화전가1 17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때 수도. 곧 그 나라 수도인 서울을 지칭한 말.
장안(長安)[허후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수도라는 뜻으로 서울을 이르는 말이다.
장안갑제(長安甲第)[뎡슝샹회방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장안의 가장 큰 집.
장안대도(長安大道)[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서울의 큰 길. 큰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