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수(張宿)[한흥가라 80 페이지 / 전적]

장성(張星). 천선(天璇).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스물여섯째 별자리의 별들.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둘째 별. 큰곰자리의 베타성(beta星)으로 밝기는 2.0등급이다.

장수(張宿)[한흥가라 80 페이지 / 전적]

장성(張星). 천선(天璇).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스물여섯째 별자리의 별들. 북두칠성의 머리 쪽에 있는 네 개의 별 가운데 둘째 별. 큰곰자리의 베타성(beta星)으로 밝기는 2.0등급이다.

장수(藏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6 페이지 / 전적]

「藏修」― 修學의 道를 말함. 禮記樂記에 「君子之於學也 藏焉修焉 遊焉息焉」이라 했는데 疏에 「藏은 마음에 항상 學業을 懷抱함을 이름이요 修는 닦고 익혀 能히 發하지 않음을 이름이다」라 하였음.

장수(長壽)[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8 페이지 / 전적]

①목숨이 긺 ②오래 삶.

장수(長壽)[합강정가(合江亭歌) 12 페이지 / 전적]

①목숨이 긺 ②오래 삶.

장수부귀(長壽富貴)[자치가 23 페이지 / 전적]

오래살고 부유하고 귀함.

장수여[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명나라 이여송 장군을 가리킴, 조부는 평안도 위원 사람

장수왕(長壽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3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20대 왕(394~491). 이름은 거련(巨連)ㆍ연(璉). 광개토 대왕의 맏아들로, 427년에 도읍을 국내성(國內城)에서 평양으로 옮기고 남하 정책을 펼쳐, 고구려의 판도를 넓혔다. 부족 제도를 고치고 5부(部)를 개설하는 따위의 개혁을 이룩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장수왕(長壽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20대 왕(394~491). 이름은 거련(巨連)ㆍ연(璉). 광개토 대왕의 맏아들로, 427년에 도읍을 국내성(國內城)에서 평양으로 옮기고 남하 정책을 펼쳐, 고구려의 판도를 넓혔다. 부족 제도를 고치고 5부(部)를 개설하는 따위의 개혁을 이룩하여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장수인(長壽人)[유소가 3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사는 사람.

장숙야(張叔夜)[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때의 사람으로 금(金)나라 군대와 싸워 용맹을 떨침.

장숙야(張叔夜)[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때의 사람으로 금(金)나라 군대와 싸워 용맹을 떨침.

장숙야(張叔夜)[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8 페이지 / 전적]

송나라 때의 사람으로 금(金)나라 군대와 싸워 용맹을 떨침.

장숙야(張叔夜)[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사람으로 금(金)나라 군대와 싸워 용맹을 떨침.

장숙야(張叔夜)[대명복수가(명복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송나라 때의 사람으로 금(金)나라 군대와 싸워 용맹을 떨침.

장순(張巡)[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때 충신. 남양(南陽) 사람으로 온갖 서적에 능통하고 진법에 밝았다. 진사(進士)로 나가 청하령(淸河令)·진원령(眞源令)·어사중승(御史中丞)을 거쳐 안녹산의 난에 군사를 일으켜 토벌에 참여했고, 수양성을 지키다가 함락되어 죽었는데 양주대도독에 추증(追贈)되었다. 후세의 그의 충절이 많은 사람의 입에서 기려졌다.

장순과 뇌만춘[석천집(石川集二-五)2-5 27 페이지 / 전적]

장순은 당대(唐代)의 충신(忠臣)인데 안녹산(安祿山)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 전공(戰功)을 세웠다. 뇌만춘 역시 안녹산의 난 때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장슈고[효봉구고치산가 22 페이지 / 전적]

‘장수하라’ 가 잘못 표기된 듯 함.

장시(場市)[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3 페이지 / 전적]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

장시(場市)[김씨효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있어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따위를 유통시켰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