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재계(齋戒)[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하다.
재계(齋戒)[망부가 12 페이지 / 전적]
종교적 의식 등을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재계(齋戒)[대효가(大孝歌) 6 페이지 / 전적]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재계(齋戒)[사군가(事君歌) 2 페이지 / 전적]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재골(才骨)[셔유곡 18 페이지 / 전적]
재주가 있어 보이는 생김새. 또는 그런 사람.
재국(才局)[거창가라 7 페이지 / 전적]
재주와 국량.
재국(才局)[아림가(娥林歌) 7 페이지 / 전적]
재주와 국량.
재궁(榟宮)[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관(棺)을 일컫는 말.
재금춘(再今春)[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다시 봄이 찾아옴.
재금춘(再今春)[경춘곡 2 페이지 / 전적]
다시 봄이 찾아옴.
재금춘(再今春)[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다시 봄이 찾아옴.
재금춘(再今春)[경춘곡 2 페이지 / 전적]
다시 봄이 찾아옴.
재녕열친가(再寧悅親歌)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친정에 가서 부모님을 뵈옵는 즐거움을 서술한 노래. ‘재녕(再寧)’ 은 귀녕(歸寧)에서 온 말로 ‘재차, 다시’ 근친(覲親)한다는 말이다. 옛날에 여자가 한번 출가를 하면 친정집 나들이가 어려웠을 때의 문화에서 나온 말이다.
재당(在堂)[환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가 집에 계심.
재당(在堂)[환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가 집에 계심.
재당질녀(再堂姪女)[초씨션원쳥음가 13 페이지 / 전적]
육 촌 형제의 딸.
재동(宰棟)[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의 기둥이 되는 중신.
재령이씨(載寧李氏)[육십회갑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성씨의 하나. 재령 이씨(載寧 李氏)는 경주 이씨에서 분적된 계통으로, 소판공(蘇判公) 거명(居明 : 경주 이씨 중시조)의 후손 이우칭이 고려조(高麗朝)에서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책록 되고 문하시중을 지낸 후 재령군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우칭을 시조(始祖)로 받들고 있다.
재리(財利)[ 1 페이지 / ]
재물과 이익.
재리(財利)[자경별곡(自警別曲) 2 페이지 / 전적]
재물과 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