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재봉기약(再逢期約)[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다시 만날 약속.

재봉지[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시신(屍身)를 화장(火葬)하고 남은 재를 담은 봉지를 뜻함.

재사심정(再思心定)[경화가(警和歌) 28 페이지 / 전적]

두 번 생각하고 마음을 정하라.

재사심정(再思心定)[론학가권지일 7 페이지 / 전적]

다시 생각하여 마음을 정리함.

재사심정(再思心定)[경화가(警和歌) 28 페이지 / 전적]

두 번 생각하고 마음을 정하라.

재사심정(再思心定)[론학가권지일 7 페이지 / 전적]

다시 생각하여 마음을 정리함.

재사심정(再思心定)[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다시 생각하여 마음을 정함.

재사심정(再思心定)[창덕가2 88 페이지 / 전적]

다시 생각하여 마음을 정함.

재산(財産) 몰 제[명륜가(明倫歌) 73 페이지 / 전적]

재산을 모을 때.

재산지일(在山之日)[구쟉가 13 페이지 / 전적]

산에 있는 날.

재상(在上)[지효가(知孝歌) 3 페이지 / 전적]

남의 위에 있는 것.또는 손윗사람이나 연장자가 위에 계심.

재상고관작(宰相高官爵)[명산록(名山錄) 83 페이지 / 전적]

재상이나 고위 관직에 이른 벼슬아치.

재상고관작(宰相高官爵)[구산가(求山歌) 2 페이지 / 전적]

재상이나 고위 관직에 이른 벼슬아치.

재상들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5 페이지 / 전적]

「股肱」- 輔相하는 臣僚를 말한 것임. 書經 益稷「帝曰 臣作朕股肱耳目 予欲左右有民 汝翼」이라 하였음.

재생(再生)[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①거의 죽게 되었다가 되살아 남 ②사후(死後)에 혼이 다른 육체(肉體) 속에서 다시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③신앙(信仰)을 가져 새로운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④버리게 된 물건(物件)을 다시 쓰게 만듦 ⑤한번 경험(經驗)한 내용(內容)을 어떤 기회(機會)에 다시 생각나서 말하고 쓰게 됨 ⑥상실(喪失)된 생물체(生物體)의 일부(一部)가 다시 자라나는 현상(現象) ⑦녹음(錄音)한 것으로 전의 음성(音聲), 가곡(歌曲) 등(等)을 다시 들려주는 일

재생(再生)[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①거의 죽게 되었다가 되살아 남 ②사후(死後)에 혼이 다른 육체(肉體) 속에서 다시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③신앙(信仰)을 가져 새로운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④버리게 된 물건(物件)을 다시 쓰게 만듦 ⑤한번 경험(經驗)한 내용(內容)을 어떤 기회(機會)에 다시 생각나서 말하고 쓰게 됨 ⑥상실(喪失)된 생물체(生物體)의 일부(一部)가 다시 자라나는 현상(現象) ⑦녹음(錄音)한 것으로 전의 음성(音聲), 가곡(歌曲) 등(等)을 다시 들려주는 일

재생(再生)[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①거의 죽게 되었다가 되살아 남 ②사후(死後)에 혼이 다른 육체(肉體) 속에서 다시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③신앙(信仰)을 가져 새로운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④버리게 된 물건(物件)을 다시 쓰게 만듦 ⑤한번 경험(經驗)한 내용(內容)을 어떤 기회(機會)에 다시 생각나서 말하고 쓰게 됨 ⑥상실(喪失)된 생물체(生物體)의 일부(一部)가 다시 자라나는 현상(現象) ⑦녹음(錄音)한 것으로 전의 음성(音聲), 가곡(歌曲) 등(等)을 다시 들려주는 일

재생(再生)[셔운가 7 페이지 / 전적]

①거의 죽게 되었다가 되살아 남 ②사후(死後)에 혼이 다른 육체(肉體) 속에서 다시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③신앙(信仰)을 가져 새로운 생활(生活)을 시작(始作)함 ④버리게 된 물건(物件)을 다시 쓰게 만듦 ⑤한번 경험(經驗)한 내용(內容)을 어떤 기회(機會)에 다시 생각나서 말하고 쓰게 됨 ⑥상실(喪失)된 생물체(生物體)의 일부(一部)가 다시 자라나는 현상(現象) ⑦녹음(錄音)한 것으로 전의 음성(音聲), 가곡(歌曲) 등(等)을 다시 들려주는 일

재생신(再生身)[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몸과 마음이 다시 새롭게 태어나는 것.

재세[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힘이나 세력 따위를 믿고 교만하게 굶.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