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장진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7 페이지 / 전적]

「將進酒」― 漢나라 饒歌 十八曲의 하나임.樂府詩集에 依하면『古訶에 「將進酒 乘大白」이라 했는데 大略은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는 내용을 말한 것이다』라 하였음. 이詩는 唐나라 詩人 李賀의 原作을 보고서 그 韻을 쓰고 그 체를 의방하여 시험삼아 지어본 것임.

장진주[사시풍경가라 2 페이지 / 전적]

장진주(將進酒)'를 잘못 씀.정철이 지은 <장진주사>를 가곡 5장 형식으로 부른 노래 곡조.

장질(長姪)[노졍긔 9 페이지 / 전적]

맏조카.

장질(長姪)[노졍긔 9 페이지 / 전적]

맏조카.

장차(將次)[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앞으로, 차차.

장차(將次)[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앞으로, 차차.

장창[허후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늘.

장창(臧倉)[석천집(石川集二-五)2-5 161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노(魯)나라 사람. 평공(平公)의 비위를 잘 맞추어 사랑을 받았던 폐인(嬖人)이었음. 이 글에서는 평공이 맹자를 배우려 할 때에 장창은 이를 막았다는 옛일을 인용한 것임.

장창(長槍)[초씨션원쳥음가 6 페이지 / 전적]

옛날 군기(軍器)의 일종으로서 전체길이가 4m 가량 되는 긴 창. 창날의 길이는 50㎝ 내외인데 끝에 물미가 져 있으며 창날과 자루 사이에는 칼코등이가 끼워져 있음.

장천(長川)[김씨효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주야장천(晝夜長川).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

장초(萇楚)[송강집(松江集二)2 141 페이지 / 전적]

백성이 학정에 시달려서 차라리 초목(草木)처럼 의식이 없고 근심 걱정이 없으면 하는 뜻. 詩經 檜風 隰有萇楚 註에「政煩賦重人不堪其草木之無知無憂也」

장촉(長燭)[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1 페이지 / 두루마리]

긴 촛불.

장추(長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1 페이지 / 전적]

「長楸」― 楚辭 九章 涉江에 「望長楸而太息兮 涕淫淫其若霰」이란 句가 있는데, 註에 「長楸란 이른바 故國의 喬木이라. 사람으로 하여금 顧望徘徊하여 차마 떠나가지 못하게 한다」라 했음.

장춘(長春)[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어느 때나 늘 봄빛임.

장춘(長春)[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어느 때나 늘 봄빛임.

장춘(長春)[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어느 때나 늘 봄빛임.

장춘(長春)[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어느 때나 늘 봄빛임.

장춘동(長春洞)[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전남 해남군 구림리 장춘동. 대흥사로 들어가는 아홉 구비 계곡 길.

장춘동(長春洞)[두륜산대흥사유람가(頭輪山大興寺遊覽歌) 3 페이지 / 전적]

전남 해남군 구림리 장춘동. 대흥사로 들어가는 아홉 구비 계곡 길.

장춘이라[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사시장춘(四時長春). 늘 봄과 같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