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장편고문(長篇古文)[팔도안희가 15 페이지 / 전적]
장편(長篇)은 구(句)의 수에 제한이 없는 한시(漢詩)의 한 체(體) 또는 내용이 길고 복잡한 소설이나 시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고문(古文)은 황견(黃堅)이 편찬한
장평갱졸(長平坑卒)[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진(秦)과 조(趙)의 전쟁 시 장평 땅에 묻혀 죽은 조의 40만 군졸. 일시에 많은 사람이 참혹하게 죽는 것을 말한다.
장폭사(帳幅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휘장이나 치마를 드리운 모양의 사(砂) 형세.
장폭사(帳幅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휘장이나 치마를 드리운 모양의 사(砂) 형세.
장폭사(帳幅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휘장이나 치마를 드리운 모양의 사(砂) 형세.
장풍(長風)[석천집(石川集二-五)2-5 100 페이지 / 전적]
멀리서 불어오는 바람, 또는 대풍(大風)
장풍향양(藏風向陽)[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4 페이지 / 전적]
바람을 막고 양지바른 곳으로 향하는 것.
장하(杖下)[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9 페이지 / 전적]
곤장으로 매를 맞는 그 자리.
장하(杖下)[거창가라 2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곤장으로 매를 맞는 그 자리.
장하(杖下)[아림가(娥林歌) 2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곤장으로 매를 맞는 그 자리.
장하강촌(張夏江村)[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긴 여름날의 강마을.
장하강촌(張夏江村)[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긴 여름날의 강마을.
장하대기(帳下大基)[우미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장막 아래의 넓고 좋은 터.
장하지혼(杖下之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장형을 당(當)하고 그 자리에서 죽은 혼.
장한[석천집(石川集二-二)2-2 28 페이지 / 전적]
진나라 오군(吳郡) 사람인데, 문장을 잘 지어 강동보병(江東步兵)이라고 불렸다. 제왕(齊王) 경(景)에게 벼슬해 동조연(東曹椽)이 되었는데, 가을바람이 불자 고향인 오군의 고미 나물과 순채국, 농어회가 그리워졌다. 그래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장한의 전기는 <<진서(晉書)>> 권 92에 실려 있는데, 대본의 노(蘆)자를 <<진서>>에 따라 노(노)자로 고쳤다.
장한 강동張翰江東[ 1 페이지 / ]
중국 진晉나라의 장한張翰이 자기 고향의 명산인 순갱蓴羹과 노회鱸膾를 먹기 위하여 벼슬을 그만 두고 강남으로 귀향하였다는 고사
장한 충절(忠節)[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당시에 오성과 한음이 명나라의 원병을 요청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이끈 사실을 말한다.
장한(張翰)[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晋)나라 사람. 글에 능하였고, 강동(江東)의 보병(步兵)이라고 불리었음. 왕시랑(王侍郞) : 왕유(王維). 중국 당(唐)나라 때의 시인이요, 화가임. 중국 자연시의 완성자이며, 남종화(南宗畵)의 시조로 불리었음. 시랑(王侍) : 중국의 벼슬 이름. 당대(唐代)의 중서성(中書省) 또는 문하성(門下省)의 실질상의 장관. 후세의 육부(六部)의 차관을 일컬음.
장한(張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4 페이지 / 전적]
「張翰」― 晋 吳郡人인데 字는 季鷹이요 性이 至孝하며 淸才가있어 文章을 잘하며 縱任不拘하니 당시에 江東步兵이라 불렀다. 入洛하자 齊王冏에게 벼슬하여 大司馬 東曹椽이 되었는데 가을바람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吳中의 蔬菜, 蒪羹, 鱸魚膾가 생각나서命駕하여 돌아갔음.
장한(張翰)[석천집(石川集二-三)2-3 53 페이지 / 전적]
진(晉)나라 오군(吳郡)사람. 자는 계응(季膺), 호는 강동보병(江東步兵)이다. 제왕경(齊王冏) 때에 등용되어 동조연(東曹掾)에 이르렀으나, 가을이 되자 고향 오군(吳郡)의 채소와 노어회(鱸魚鱠,농어회)가 먹고 싶다고 벼슬을 버리고 돌아갔다. 효성도 지극한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