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천[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천백사(於千百事). 모든 일.

어초문대(漁樵問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4 페이지 / 전적]

「漁樵問對」―篇名임 宋代의 理學者 康節·邵雍의 所著임

어택(御澤)[대동가(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은택.

어필(御筆)[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2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손수 쓴 글씨.

어필각(御筆閣)[유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손수 끈 글씨를 보관하던 전각(殿閣).

어헤 어헤[화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흥에 겨운 노래 가운데의 여음.

어화[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기쁜 마음을 나타내어 노래로 누구를 부르는 소리.

어화[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노랫가락 등에서 기쁜 마음을 나타내어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소리.

어화[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노랫가락 따위에서 기쁜 마음을 나타내어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소리.

어화[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노랫가락 따위에서 기쁜 마음을 나타내어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소리.

어화[칠여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노랫가락 따위에서 기쁜 마음을 나타내어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소리.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6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6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4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어화(御化)[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가사(歌辭)에서 말을 시작하기에 앞서 듣는 이로 하여금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운을 떼는 역할을 하는 발어사(發語詞).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