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전(御前)[신힁가라 2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앞.

어전숙배(御前肅拜)[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과거에 합격한 사람이 임금 앞에서 절을 하는 것을 말한다.

어정(漁艇)[셔유곡 7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하는 작은 배.

어정어정[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키가 큰 사람이나 짐승이 이리저리 천천히 걷는 모양.

어정촌(漁亭村)[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무릉도원을 말하는 것임. 도연명이 지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따르면 어부가 무릉도원에 들어서자 개와 닭 우는소리를 들었다고 하는데, 본문은 바로 이 내용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임.

어정촌(漁亭村)에 개 짖는다 도도(桃島)에 우는 닭은[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무릉도원을 말하는 것임. 도연명이 지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따르면 어부가 무릉도원에 들어서자 개와 닭 우는소리를 들었다고 하는데, 본문은 바로 이 내용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임.

어제(御製)[구쟉가 1 페이지 / 전적]

임금이 몸소 글을 짓거나 물건을 만듦. 여기에 나오는 시는 조선 19대 왕인 숙종(肅宗)의 강릉 경포대를 보고 지은 시로 전한다.

어좌(御座)[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앉는 자리.

어주(御酒)[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임금이 내려준 술.

어주(御酒)[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술을 이르던 말.

어주(魚舟)[개화별곡이라 17 페이지 / 전적]

낚싯거루.

어주漁舟[ 1 페이지 / ]

고기잡이 배.

어주삼배(御酒三盃)[타령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시험에 급제한 후에 임금이 내리는 술.

어주자(漁舟子)[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8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꾼.

어주자(魚舟子)[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고기 잡는 어부.

어주자(魚舟子)[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꾼.

어주자(魚舟子)[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꾼.

어주자(魚舟子)[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꾼.

어주자(魚舟子)[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꾼.

어주축수(漁舟逐水)[유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깃배로 물따라 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