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언간(於焉間)[축원하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

어언지간(於焉之間)[조씨가천소리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언간. 어느 사이.

어언지간(於焉之間)[두껍전이라(겁젼이라) 6 페이지 / 전적]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

어언지간(於焉之間)[죽엽가(쥭엽가) 6 페이지 / 전적]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

어여불상[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아아. 불쌍하다.

어여쁠사[시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불쌍할사.

어연 (魚鳶)[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6 페이지 / 전적]

《詩經 大雅 旱麓》에 ‘소리개 날아 하늘에 이르고 물고기 못 속에서 뛰논다.〔鳶飛戾天 魚躍于淵〕‘했는데, 「중용 (中庸)」에서 인용하여 ‘위와 아래에 이치가 나타남이다.‘ 하였다.

어엿부네[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불쌍하다. 가엾다.

어엿부네[만수가(만슈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불쌍하다. 가엾다.

어엿불상[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5 페이지 / 전적]

가엽고 불쌍한.

어엿븐[ 1 페이지 / ]

불쌍한. 가련한.

어오창생(於吾蒼生)[막소가(莫笑歌) 9 페이지 / 전적]

나와 세상의 모든 사람에게

어옹(漁翁)[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하는 늙은이. 이 가사에서는 양구(羊裘)를 입고 낚시를 한 엄광을 두고 이름.

어옹(漁翁)[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고기를 잡는 노인.

어옹(漁翁)[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고기를 잡는 노인.

어옹(漁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 페이지 / 전적]

고기잡이 어부.

어옹(漁翁)[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고기낚는 늙은이.

어옹(漁翁)[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고기낚는 늙은이.

어옹(漁翁)[봉별가 39 페이지 / 전적]

어부(漁夫).

어옹(漁翁)[녁대가(녁가) 17 페이지 / 전적]

고기 잡는 늙은이. 본문에서는 강태공(姜太公)을 가리킴. 강태공은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망시켜 천하를 평정하였으며 제(齊)나라 시조가 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