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어주축수애삼춘(漁舟逐水愛三春)[춘분유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왕유가 지은 도원행(桃源行)의 첫 구절. 우리 나라 잡가 중에서 유산가(遊山歌)에 나오는 구절. 어부가 배를 타고 신선경에 들어간다는 말.

어지러지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狼藉」― 錯亂不整한 모양임. 史記 滑稽傳에「履舃交錯 杯盤狼藉」라 하였음. 通俗編에는 蘓氏演義를 引用하여 이르기를「狼藉草而臥 去則滅亂 故凡物之縱橫散亂者 謂之狼藉」라 했다 하였음.

어지럽히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2 페이지 / 전적]

「螮蝀」 ― 虹인데 즉 무지개로서 해가 비와 어울리면 갑짜기 質을 이루고한다. 이는 陰陽의 氣가 어울리지 아니해야 할 데서어울린 것이니, 대개 천지의 淫氣이다.詩經 衛風에 「螮蝀在東莫之敢指」라 하여 淫奔의 惡에 비하였음.

어지어지[구쟉가 4 페이지 / 전적]

어질지.

어지지기소지(於止知其所止)[낙지가 9 페이지 / 전적]

그칠 때가 되면 그칠 줄을 안다.

어진이는 수를하고[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진 사람은 수명이 길고.

어진이는 수를하고[헌수가(헌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진 사람은 수명이 길고.

어질하고[한양가라 52 페이지 / 전적]

갑자기 정신이 아득하고 어지럽다.

어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1 페이지 / 전적]

「埋沒百草」―杜甫의 兵車行에 「生女猶得嫁比隣 生男埋沒隨百草」라는 句가 있음.

어찌 괴룡을 본받으랴 하였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80 페이지 / 전적]

(원주) (황)산곡(山谷)이 이르기를, ‘괴룡을 잘못 치면 무늬가 찢어진다.‘고 했다

어찌 다만 솜을 끼고 있는 따뜻함[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4 페이지 / 전적]

군주의 따뜻한 위문을 받고 군사들이 감동됨을 이르는 말. 《春秋左傳宣公十二年倏》에 ‘초(楚)나라 소자(蘇子)가 군대를 거느리고 신(申) 나라를 정벌하였는데, 때마침 큰 추위가 몰아닥쳤다. 신공 무신(申公巫臣)이 건의하기를 ‘군사들이 추위에 떨고 있으니, 임금께서는 삼군의 진영을 일일이 방문하면서 위문해 주소서.‘하였다. 이에 초왕은 그의 말을 받아들여 따뜻이 위문해 주었더니, 초 나라 군사들은 모두 감동하여 솜을 끼고 있는 듯이 추위를 잊고 용전분투했다.‘하였다.

어찌 반드시 대부의 5정[석천집(石川集二-二)2-2 193 페이지 / 전적]

고대에 대부가 제사할 때에 다섯 가지 제물을 마련하였다. 이것이 바뀌어 벼슬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어찌 사다리를 빌려서 올라갔으랴.[석천집(石川集二-二)2-2 78 페이지 / 전적]

(원주) 민간 전설에 소 밑에 바위가 있는데, 용이 (하늘로) 올라가던 사다리라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용제(龍梯)라고 한다.

어찌하면 왕공의 옷을 얻고[석천집(石川集二-二)2-2 193 페이지 / 전적]

왕공은 자태가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그를 사랑하였다. 어떤 사람은 그를 보고, ‘마치 봄날의 버드나무처럼 환하게 아름답다.‘고 했다. 일찍이 학창의를 입고 눈속을 걸어가는데, 맹창이 그 모습을 엿보고 ‘이는 참으로 신선 가운데 사람이다.‘라며 찬탄했다. -<<진서>> 권84 <왕공>열전

어찌하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4 페이지 / 전적]

「曾元」- 孟子 離婁篇에 「曾子養曾晳 必有酒肉 將徹 必請所與問有餘 必曰有 曾晳死 曾元養曾子 必有酒食 將徹 不請所與 問有餘 曰亡矣 此所謂養口體者也 苦曾子 則可謂養志也」라 하였음.

어찬(魚饌)은 동쪽이요, 육찬(肉饌)은 서쪽이라[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6 페이지 / 전적]

어동육서(魚東肉西)를 말함. 즉,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찬(饌)은 동쪽, 육 고기 찬(饌)은 서쪽에 놓는 일.

어천만사(於千萬事)[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모든 일.

어천만사(於千萬事)[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모든 일.

어천어지(於天於地)[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에. 세상천지를 뜻하는 것으로 보임.

어천어지(於天於地)[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하늘과 땅에. 세상천지를 뜻하는 것으로 보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