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양공[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3 페이지 / 전적]
노나라 임금.
양공(襄公)[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왕(?~B.C.637). 이름은 자부(玆父). 초나라와 홍(泓)에서 싸울 때 상대편에게 인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패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뒤에 이를 두고 ‘송양지인(宋襄之仁)’이라는 말이 생겼다.
양공(梁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6 페이지 / 전적]
「梁公」- 狄仁傑은 唐 太原人인데, 字는 懹英이요 明經으로 及第하여 高宗, 中宗, 睿宗 의 三朝에 累仕하여 侍郞同平章에 이르렀으며 職位에 있을 적에, 薦賢을 일삼아서 所薦한 張柬之桓彦範, 敬暉, 姚崇 等이 모두 中興의 名臣이 되었음. 諡는 文惠임.
양공(良工)은 불기(不棄)라도[흥비가 8 페이지 / 전적]
재주가 뛰어난 공인은 버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양공불기(良工不棄)[흥비가 11 페이지 / 전적]
뛰어난 기술자는 약간 모자라는 재료라도 버리지 않음.
양공섭에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 페이지 / 전적]
梁公燮」- 梁應鼎의 字인데 號는 松川이요 濟州人이요 學圃彭孫의 子로 中宗王子에 文科 官은 大司成임.
양관(陽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2 페이지 / 전적]
「陽關」-王維詩의 渭城曲에 比擬하여 지은 것임. 湖堂은 東湖의 讀書堂을 말함.
양관곡(陽關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3 페이지 / 전적]
「陽關曲」―本名은 渭城曲인데、淸平調라고 이르는 사람도 있다。『王維의 送元二使安西詩에 「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 觀君更進一盃酒 西出陽關無故人」이라 했는데 뒤에 이 詩歌가 樂府에 들어 送別의 曲으로 삼았다. 陽關의 句에 이르러는反復하여 노래하므로 陽關三疊이라 이른다』라 하였음。 詩人玉屑에 나타나 있음。
양관곡(陽關曲)[석천집(石川集二-一)2-1 8 페이지 / 전적]
唐人 王維의 詩 西出陽關無故人에서 온 말로 離別詩를 뜻함.
양관을 나서니 친구가 드물구나[석천집(石川集二-二)2-2 160 페이지 / 전적]
위성의 아침 비는 티끌을 적시는데 / 객사의 버들은 더욱 푸르러졌네. / 그대에게 술 한 잔을 다시 권하노니 / 서쪽으로 양관을 나서면 아는 이가 없으리라.[西出陽關無故人] -왕유 <송원이사안서시(送元二使安西詩)>
양광(佯狂)[별한가 13 페이지 / 전적]
거짓으로 미친 체함. 또는 그런 행동.
양광(佯狂)[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8 페이지 / 전적]
거짓으로 미친체 함, 또는 그런 행동.
양광도(楊廣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8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지금의 충청도 지역에 둔 행정구역. 충숙왕 원년(1314)에 제정하였다가 공민왕 5년(1356)에 충청도로 고쳤다.
양구(羊裘)[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양의 가죽으로 만든 옷.
양구(養口)[효행가(孝行歌) 8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입맛에 맞게 음식을 봉양하는 것.
양구(養口)[대효가(大孝歌) 2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입맛에 맞게 음식을 봉양하는 것.
양국(洋局)[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서양인들이 침범해 오는 시국.
양국(洋局)[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서양인들이 침범해 오는 시국.
양궁(兩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3 페이지 / 전적]
「兩宮」―正宮과 春宮으로 中宗 仁宗을 말한 것임.
양귀비(楊貴妃)[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현종(玄宗)의 귀비(貴妃). 춤과 음악에 뛰어나고 총명하여 현종의 총애를 한 몸에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