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약수[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5 페이지 / 전적]
《書傳 禹貢》에 ‘약수가 이미 서쪽으로 흐른다.‘ 했는데, 그 주에 유종원(柳宗元)이 ‘서해의 산에 물이 있는데 흩어지고 풀어져 힘들 없어서 티끌도 뜨지 못하며 던져 넣으면 가라앉으므로 약수라고 한다.‘ 하였다.
약수(弱水)[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4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적인 강.
약수(弱水)[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에 있다는 전설적인 강. 길이가 삼천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弱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4 페이지 / 전적]
「弱水」― 書經禹貢篇에 「導弱水 至于合黎 餘波入宇流沙」라는 대문이 있는데 淸一統志에 『옛부터 弱水를 말한 것이 하나만이 아니었다. 山海經에는「西海의 南 流沙의 濵에 큰 산이 있어 崑崙이라 이름하고 그 아래에 弱水의 淵이 있어 그 주위를 둘렀다」했으며 그 註에 「그물이 弱하여 鴻毛를 이기지 못한다」』라 했음. 여기는 崑崙山의 弱水를 말한 것임.
약수(弱水)[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
약수(弱水)[화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 길이가 3,000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弱水)[춘몽가(츈몽가) 32 페이지 / 전적]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약수(弱水)[차운 8 페이지 / 전적]
신선(神仙)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적인 강. 길이가 3,000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弱水)[춘몽가(츈몽가) 32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길이가 3,000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弱水)[별한가 38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의 전설에서 신선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 건너야 하는 강. 아무리 가벼운 물건이라도 다 가라앉기 때문에 신선만이 건널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삼천리나 된다고 함.
약수(弱水)[상사가라 4 페이지 / 전적]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 길이가 3,000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삼천(約水三千)[칠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약수는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적인 강. 길이가 삼천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삼천리(弱水三千里)[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선이 산다는 곤륜산에 있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 길이가 3,000리나 되며 부력이 매우 약하여 기러기의 털도 가라앉는다고 함.
약수유사(弱水遺事)[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약수에서 전해져 오는 일. 약수는 옛날 중국의 전설에서 신선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 건너야 하는 강. 신선만이 건널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삼천리나 된다고 함.
약야계(若耶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6 페이지 / 전적]
「若耶溪」―若耶는 山名인데, 中國 浙江省 紹興縣南에 있다.그 아래 溪가 있어 若耶溪라 하는데 바로 西施가 浣紗하던 곳이다. 會稽志에 보임.
약여(若如)[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와 같음.
약유파(若流波)[회심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흐르는 물과 같다. 인생의 무상을 말함.
약유파(若流波)[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물결과 같음.
약장안계위오토(若將眼界爲吾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만약 눈앞에 보이는 땅이 장차 나의 땅이 된다면.
약재(藥材)[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약재료(藥材料)의 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