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양 시(楊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79 페이지 / 전적]

「楊游謝呂」-楊時 ․ 游酢 ․ 謝良佐 ․ 呂大臨은 程伊川의 門人으로 程門의 四賢이라 稱함.

양 이(兩李)[송강집(松江集四)4 91 페이지 / 전적]

이경율(李景∝)과 이징(李徵).

양(陽)[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양극, 역학에서 태극이 나뉜 두 기운 가운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면을 상징하는 철학 범주로 밝음, 하늘, 해, 수컷, 더움 따위로 나타난다.

양(兩)선생[역대삼재가라 12 페이지 / 전적]

최제우(崔濟愚)와 강일순(姜一淳).

양(梁)[석천집(石川集二-一)2-1 33 페이지 / 전적]

遊京한 것을 말함

양간회(羘肝膾)[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의 양과 간을 날로 잘게 썬 음식.

양간회(羘肝膾)[기수가 3 페이지 / 전적]

소의 양과 간을 날로 잘게 썬 음식.

양간회(羘肝膾)[답긔슈가 6 페이지 / 전적]

소의 양과 간을 날로 잘게 썬 음식.

양강음약(陽剛陰弱)[명륜가(明倫歌) 54 페이지 / 전적]

‘양의 기운이 강하고 음의 기운이 약하다’는 뜻으로, ‘남편이 힘이 있고 아내는 힘이 없다’는 말.

양경陽景[ 1 페이지 / ]

태양의 빛, 또는 햇볕

양계(陽界)[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이 세상.

양계(陽界)[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밝은 세상.

양계(陽界)[팔도가 16 페이지 / 전적]

밝은 세상.

양계(陽界)[북쳔가 29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사는 세상, 또는 이 세상.

양고(羊枯[인여가(引轝歌) 7 페이지 / 전적]

진나라의 장수.

양고(羊枯[인여가(引轝歌) 7 페이지 / 전적]

진나라의 장수.

양고(羊枯[인여가(引轝歌) 7 페이지 / 전적]

진나라의 장수.

양곡(暘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暘谷扶桑」- 暘谷은 東海를 이름이요, 扶桑은 東海의 神木을 말한 것인데, 여기는 그런 大木으로 장작을 장만하여 구어낸다는 뜻임.

양곡(暘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21 페이지 / 전적]

「暘谷」-日出處를 말함。書痙 堯典에 「分命義仲 宅嵎夷 日暘谷」이라는 대문이 있음。

양곡(暘谷)[석천집(石川集二-三)2-3 72 페이지 / 전적]

해가 뜨는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