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야정수한어불식(夜靜水寒魚不食)[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5 페이지 / 전적]

고요한 밤 차가운 물속에 고기도 물지를 않으니.

야차(夜叉)[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① 두억시니. 모질고 사나운 귀신의 하나. ② 팔부의 하나. 사람을 괴롭히거나 해친다는 사나운 귀신이다. ③ 염마졸(閻魔卒). 염마청에서 염라대왕의 명을 받아 죄인을 벌하는 옥졸.

야차나찰(夜叉羅刹)[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야차(夜叉)는 범어 yaksa의 음역(音譯)으로, 사람을 해치는 사나운 귀신으 로 ‘두억시니’라고도 함. 나찰(羅刹)은 사람을 잡아먹는 악귀(惡鬼).

야차나찰(夜叉羅刹)[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야차(夜叉)는 범어 yaksa의 음역(音譯)으로, 사람을 해치는 사나운 귀신으 로 ‘두억시니’라고도 함. 나찰(羅刹)은 사람을 잡아먹는 악귀(惡鬼).

야착하고도 야착하더라[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애착하다’인 듯.

야팟즁문 소슬문의[복션화음록 12 페이지 / 전적]

안팎 중문(中門, 重門)과 솟을대문에. 안팎으로 통하는 중문과 솟을대문에. 솟을대문은 행랑채의 지붕보다 높이 솟게 지은 대문.

야피금포(夜被錦袍)[매창월가(梅牕月歌) 2 페이지 / 전적]

밤에 비단옷을 입고.

야행(夜行)[거취가(去取歌) 4 페이지 / 전적]

밤에 길을 감.

야행(夜行)할제 촉화(燭火)로 하고[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밤에 다닐 때는 촛불로 써 할 것이니.

야행(夜行)할제 촉화(燭火)로 하고[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밤에 다닐 때는 촛불로 써 할 것이니.

야부[셕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얘야 부디.

약(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1 페이지 / 전적]

「守約」-孟子 公孫丑上篇에「孟施舍之守氣 又不若曾子之守 約

약간 호걸(若干豪傑) 호걸(豪傑)[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얼마 되지 않은 호걸. 지혜 용기가 뛰어나고 기개와 풍모가 있는 사람.

약과(藥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6 페이지 / 전적]

‘과줄’이라고도 하며 꿀과 기름을 섞은 밀가루 반죽을 판에 박아서 모양을 낸 후 기름에 지진 과자.

약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7 페이지 / 전적]

「弱冠」―禮記曲禮에「人生十年曰幼學二十曰弱冠」이라 하였음.

약기(藥器)[한흥가라 38 페이지 / 전적]

사약이 담긴 그릇.

약기(藥器)[한흥가라 38 페이지 / 전적]

사약이 담긴 그릇.

약기(藥器)[한흥가라 38 페이지 / 전적]

사약이 담긴 그릇.

약기(藥器)[한양가라 37 페이지 / 전적]

약그릇으로 여기서는 사약(死藥)을 담은 그릇을 말한다.

약덕(藥德)[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병을 낫게 하는 약의 효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