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순무사[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반란과 전시에 군무를 맡은 임시 벼슬
순무사(巡撫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8 페이지 / 전적]
①조선(朝鮮) 시대(時代) 때의 임시(臨時) 벼슬. 지방(地方)에서 일어난 반란(叛亂)과 전시(戰時)의 군무를 맡아보았음 ②고려(高麗) 때의 벼슬. 25대 충렬왕(忠烈王) 2(1276)년에 안무사(安撫使)를 개칭(改稱)한 것으로, 백성(百姓)들의 질병(疾病)과 지방관(地方官)들의 잘잘못을 살폈음. 순무 대장(巡撫大將).
순박(淳朴)[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순수하며 인정이 두텁다.
순배[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술자리에서 술잔을 차례로 돌림. 또는 그 술잔.
순배(巡杯)[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술자리에서 술잔을 차례로 돌림.
순배(巡杯)[태평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술자리에서 술잔을 차례로 돌림.
순사(巡査)[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일제시대 때 경찰관의 가장 낮은 계급.
순사(順事)[김씨효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물의 정상(情狀)에 따라 일을 처리함.
순삭(旬朔)[리행소챙가 37 페이지 / 전적]
초 열흘과 초 하루.
순산(順産)[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산모가 아무 탈 없이 순조롭게 아이를 낳음.
순산(順産)[외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산모가 아무 탈 없이 순조롭게 아이를 낳음.
순산(順産)[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아무 탈없이 순하게 아이를 낳음.
순산(順産)[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아무 탈없이 순하게 아이를 낳음.
순상(巡相)[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순찰사(巡察使).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순상(巡相)[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순찰사(巡察使). 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 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순상(巡相)[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순찰사(巡察使). 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 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순상(巡相)[합강정가(合江亭歌) 2 페이지 / 전적]
순찰사(巡察使). 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 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순상(巡相)[합강정가(合江亭歌) 14 페이지 / 전적]
① 조선 시대에, 병란(兵亂)이 있을 때 왕명으로 지방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던 임시 벼슬. ② 조선 시대에, 도(道) 안의 군무를 순찰하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순상의(舜裳衣)[ 1 페이지 / ]
미인의 옷
순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9 페이지 / 전적]
「不次」―尋常의 等次에 의지하지 않음을 말함. 漢書에「待以不次之位」란 대문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