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숙수(菽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菽水」- 薄物을 말함.禮記에 「啜菽飮水 其歡 斯之謂孝」라 하였음.

숙숙기주(倏倏起走)[그리져리구경하고 9 페이지 / 전적]

갑자기.

숙숙하다[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가는 마음이 생길 만큼 분위기가 엄숙하다. 고요하고 쓸쓸하다

숙숙하다[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가는 마음이 생길 만큼 분위기가 엄숙하다. 고요하고 쓸쓸하다

숙숙히(肅肅)[노정가라(노졍기라) 21 페이지 / 전적]

삼가는 마음이 생길 만큼 분위기가 엄숙하게.

숙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7 페이지 / 전적]

시숙(媤叔)의 잘못된 표기인 듯함.

숙시(熟視)[리행소챙가 79 페이지 / 전적]

눈여겨 자세히 봄.

숙시(熟視)[무제(양신택졍하여) 6 페이지 / 전적]

눈 여겨 자세히 봄.

숙신(肅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 페이지 / 전적]

고조선 때에, 지금의 만주와 연해주 지방에 살던 퉁구스 족. 고구려 서천왕 때에 일부가 복속되었고 광개토 대왕 8년(398)에 완전 병합됨.

숙신씨[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살았던 퉁구스족

숙실(熟悉)[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익히 잘 앎. 숙지(熟知)와 같은 뜻.

숙야(夙夜)[답사향곡(답향곡) 7 페이지 / 전적]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숙야(夙夜)[혼례가(婚禮歌) 5 페이지 / 전적]

이른 아침과 늦은 밤.밤낮.

숙야구(夙夜懼)[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밤낮으로 두려워하다.

숙여수(孰與誰)할꼬[자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누가 누구와 함께 할꼬.

숙여진(熟女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8 페이지 / 전적]

만주(滿洲) 남서부(南西部)에 있어 요(遼)나라에 잘 복종(服從)하던 여진족(女眞族)

숙여진(熟女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8 페이지 / 전적]

만주(滿洲) 남서부(南西部)에 있어 요(遼)나라에 잘 복종(服從)하던 여진족(女眞族)

숙여진(熟女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8 페이지 / 전적]

만주(滿洲) 남서부(南西部)에 있어 요(遼)나라에 잘 복종(服從)하던 여진족(女眞族)

숙여진(熟女眞)[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주(滿洲) 남서부(南西部)에 있어 요(遼)나라에 잘 복종(服從)하던 여진족(女眞族)

숙여진(熟女眞)[대명복수가(명복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만주(滿洲) 남서부(南西部)에 있어 요(遼)나라에 잘 복종(服從)하던 여진족(女眞族)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