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순(順)케하니[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따르게 하니.
순(順)하게 받아[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이어 받아.
순(順)하게 받아[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이어 받아.
순, 자(醇, 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6 페이지 / 전적]
「醇疵」- 韓愈의 말에 「孟子 醇乎醇者也 苟與楊 大醇而小疵」라하였음.
순건(純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2 페이지 / 전적]
「復純乾」 ― 調息法을 말함. 應地濕도 역시 調息法임.
순경(唇慶)[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4 페이지 / 전적]
「唇慶」- 地名인데 未詳함
순경계(順境界)[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경계(境界)에 따름. 자기가 놓이게 되는 처지에 좇음.
순국충신(殉國忠臣)[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충신.
순남(巡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5 페이지 / 전적]
「巡南」-남방을 巡察한다는 뜻임。詩經 江漢에「王命召佰 來旬來宣」이란 句가 있음
순덕(淳德)[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양순하면서 인정이 두터운 덕.
순덕(淳德)[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양순하면서 인정이 두터운 덕.
순령(荀令)[석천집(石川集二-一)2-1 14 페이지 / 전적]
荀彧이 人家에 가서 머물다가 맨 삼일간 향기가 가시지 않아 荀令香 이라고 했다(後漢人)
순령수(巡令手)[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대장의 전령과 호위를 맡고, 순시기ㆍ영기(令旗) 따위를 받들던 군사.
순령에게서[석천집(石川集二-二)2-2 24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순욱(荀彧)을 순령향(荀令香)이라고 했다. ‘순령군이 어느 사람의 집에 이르러 막을 치고 앉아 있으면, 사흘 동안 향내가 사라지지 않았다.‘ -<<양양기(襄陽記)>>
순로(蓴鱸)[송강집(松江集二)2 91 페이지 / 전적]
장한(張翰)의 자(字)는 계응(季鷹)인데 진(晋)나라 사람으로 제왕(齊王)에 벼슬하여 대사마동조연(大司馬東曺椽)이 되었다가, 가을 바람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오중(吳中)의 순갱(蓴羹)과 농어회(鱸魚膾)를 먹고 싶어서 직(職)을 버리고 돌아갔음.
순류(順流)[한양가라 36 페이지 / 전적]
물이 순탄하게 제 길을 따라 아래로 흐름.
순류형세(順流形勢)[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순리대로 흐르는 물의 형세.
순릉(順陵)[한양가라 56 페이지 / 전적]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조성 성종의 정비 공혜왕후의 묘.
순리순수(順理順數)[도슈샤 4 페이지 / 전적]
이치와 운수에 순응함.
순무(巡撫)[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0 페이지 / 전적]
각처로 순회하면서 백성을 위하는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