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숙독상미(熟讀嘗味)[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깊이 읽어 보고 그 맛을 음미함.

숙독상미(熟讀甞味)[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익숙하도록 자세히 읽어서 참 맛을 봄.

숙독상미(熟讀甞味)[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익숙하도록 자세히 읽어서 참 맛을 봄.

숙독상미(熟讀詳味)[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익숙하게 읽고 자세히 음미하다.

숙독상미(熟讀詳味)[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익숙하게 읽고 자세히 음미하다.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20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자세(仔細ㆍ子細)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105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21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88 페이지 / 전적]

자세(仔細ㆍ子細)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독상미(熟讀詳味)[창덕가2 106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읽고 음미(吟味)함.

숙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숙질(叔姪).

숙량홀(叔梁紇)[경술가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아버지, 노(魯)나라 추읍(鄒邑)의 대부. 안씨(顔氏)의 딸인 징재(徵在)를 아내로 맞아 니구산(尼丘山)에 기도를 올리어 공자를 얻고 공자가 세 살 때 죽음.

숙록비(孰錄非)[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누구를 잘못이라 기록하겠는가?

숙맥[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너무 순진하여 숫기가 없다.

숙맥(菽麥)[리행소챙가 57 페이지 / 전적]

숙맥불변-콩과 보리를 구별 못함,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비유.

숙맥불변(菽麥不辨)[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4 페이지 / 전적]

콩인지 보리인지 분간하지 모할 만큼 어리석음.

숙맥불변(菽麥不辨)[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23 페이지 / 전적]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

숙맥불변(菽麥不辨)[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23 페이지 / 전적]

콩인지 보리인지 분별(分別)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

숙맥불변(菽麥不辨)[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