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수회(愁懷)[명궁처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근심과 회포.
수회(愁懷)[소상팔경가 26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깊이 새겨진 근심.
수회(水回)[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8 페이지 / 전적]
주위.
수회참회(羞悔懺悔)[자치가 25 페이지 / 전적]
부끄러움을 뉘우쳐 잘못을 깨우침.
수훠자[팔역가(八域歌) 27 페이지 / 전적]
수를 놓아 만든 신발
수희(受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61 페이지 / 전적]
「受釐」-漢書 賈誼傳에「上方受釐坐宣室」이라 했는데 註에「應劭는「釐는 祭餘肉이라」말하고 師古는 禧는 福인데 釐를 빌렸다 함은 神의 福을 받은 것을 말함이다」라 했음.
수히오소[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쉽게 오소. 쉬 오소. 곧 오소.
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수려(秀麗)한데.
숙(孰)과 모(牟)와 치(巵)와 이(匜)를[사친가(事親歌) 34 페이지 / 전적]
대와 모와 치와 이 등의 그릇은.
숙간(孰諫)하되[광애가(廣愛歌) 8 페이지 / 전적]
누군가 간하되.
숙간(孰諫)하되[동과가(諌過歌) 2 페이지 / 전적]
누군가 간하되.
숙녀군자(淑女君子)[한별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 국풍 관저에 나오는 구절. 窈窕淑女 君子好逑
숙당(叔堂)[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숙부(叔父).
숙당(叔堂)[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숙부(叔父).
숙덕(淑德)[어와따님요(어와님요) 3 페이지 / 전적]
여자의 정숙하고 우아한 덕.
숙덕숙덕[이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숙덕거리는 모양. 여럿이 모여 자주 주위를 살펴가면서 가만가만 이야기하는 모양.
숙독(熟讀)[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글의 뜻을 잘 생각하면서 자세하게 읽음.
숙독상미(熟讀嘗味)[도슈샤 10 페이지 / 전적]
뜻을 생각하며 자세히 읽고 깊이 음미함.
숙독상미(熟讀嘗味)[권학가 2 페이지 / 전적]
뜻을 생각하며 자세히 읽고 깊이 음미함.
숙독상미(熟讀嘗味)[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뜻을 생각하며 자세히 읽고 깊이 음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