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숙맥불변(菽麥不辨)[후원초당 봄이듯이 11 페이지 / 두루마리]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하는 모자라고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숙면(熟面)[신힁가라 12 페이지 / 전적]

여러 번 보아서 낯이 익은 사람.

숙목(肅穆)[축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공경하고 존경함.

숙목(肅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9 페이지 / 전적]

「肅穆」-和穆과 같은 말임。文選 應璩與滿公琰書에 「淸風肅穆」이란 말이 있고 文選 丘遲侍宴樂遊苑送張徐州應詔詩에 「參差別念擧肅穆恩波被」의 句가 보임

숙문(淑問)[송강집(松江集六)6 6 페이지 / 전적]

청문(淸問)과 같음

숙배(肅拜)[송강집(松江集六)6 43 페이지 / 전적]

손을 땅에 대지 않고 공손히 절함. 禮記 少儀篇에 「不手拜肅拜」

숙배(肅拜)[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8 페이지 / 전적]

벼슬의 임명을 수락하는 절차.

숙배(肅拜)[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백성들이 궁정에서 감사의 뜻으로 국왕이나 그밖의 왕족에게 절하던 의식으로 돈수사배(頓首四拜 : 머리가 땅에 닿도록 고개를 숙여 네 번 절함)를 함. 숙배의식으로는 사은숙배(謝恩肅拜)가 대표적인 것이었는데, 이는 대소 과거에 합격한 자나 문·무관직에 임명된 자가 방방(放榜 : 합격자 발표)이나 제수(除授) 이튿날 왕·왕비·대비·왕세자 등을 찾아가 절하고 사례하는 의식임.

숙배(肅拜)[신힁가라 22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이 왕이나 왕족에게 절을 하던 일. 또는 그 절.

숙부(叔父)[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작은 아버지.

숙상(塾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5 페이지 / 전적]

「塾庠序學」- 塾은 家學임. 孟子에 「夏曰校 殷曰序 周曰庠 學則三代共之」라 하였음.

숙선숙비(孰善孰非)[명륜가(明倫歌) 80 페이지 / 전적]

누가 선하며 누가 선하지 않은가.

숙세(宿世)[권왕가 4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543 참조.

숙소(宿所)[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을 떠난 사람이 임시로 묵음. 또는 그런 곳.

숙소(宿所)[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을 떠난 사람이 임시로 묵음. 또는 그런 곳.

숙소(宿所)[북쳔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을 떠나 임시로 머무는 곳.

숙소(宿所)[봉별가 13 페이지 / 전적]

잠자리.

숙소참(宿所站)[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중앙 관리의 공사(公事) 출장을 위하여 길옆에 만들어 놓은 숙소. 숙참(宿站).

숙손통(叔孫通)[황남별곡(黃南別曲) 24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의 유생(儒生).호는 직사군(稷嗣君).한(漢)나라의 고조(高祖)를 섬겨 조의(朝儀)를 제정(制定).혜제(惠帝) 때, 봉상경(奉常卿)으로서 종묘(宗廟) 등(等)의 의법(儀法)을 정(定)하고, 태자(太子) 태부(太傅)로 전임.

숙수(熟手)[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잔치와 같은 큰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만드는 사람, 혹은 음식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