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숙질(叔姪)[기수가 1 페이지 / 전적]
아저씨와 조카.
숙질간(叔姪間)[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아저씨와 조카 사이.
숙질간(叔姪間)[축원하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아저씨와 조카 사이.
숙질남매(叔姪男妹)[의향소창가 9 페이지 / 전적]
숙질은 아저씨와 조카. 오촌 남매.
숙질남매(叔姪男妹)[리행소챙가 4 페이지 / 전적]
숙질은 아저씨와 조카. 오촌 남매.
숙질지간(叔姪之間)[환행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저씨와 조카 간.
숙질지간(叔姪之間)[환행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저씨와 조카 간.
숙채(熟菜)[춘몽가(츈몽가) 40 페이지 / 전적]
익혀서 무친 나물.
숙채(熟菜)[춘몽가(츈몽가) 40 페이지 / 전적]
익혀서 무친 나물.
숙천(肅川)[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22 페이지 / 전적]
평안남도 평원군에 있는 경의선의 역.
숙청(肅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음.
숙청(肅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잘못이나 악인(惡人)을 없애어 맑게 함.
숙초(宿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8 페이지 / 전적]
「宿草」- 隔年의 草를 말함. 禮記에 「朋友之墓 有宿草 而不哭焉」이라 하였음.
숙춘(叔春)[석천집(石川集二-三)2-3 159 페이지 / 전적]
조선 연산,명종 때의 문신 유진동(柳辰仝,1497-1561). 숙춘(叔春)은 그의 자(字), 호는 죽당(竹堂). 부제학,전라도 관찰사,함경도 관찰사,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문장에 뛰어났고 죽화(竹畵)를 잘 그렸다.
숙취(夙就)[냥신낙사가(냥신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일찍 성취함.
숙취(夙就)[냥신낙사가(냥신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일찍 성취함.
숙칙(叔則)[석천집(石川集二-一)2-1 34 페이지 / 전적]
晋의 裵楷의 字니 風神이 뛰어나고 학덕이 높았다. 曳笏은 曳白과 같은 말이니 감히 글을 쓰지 못하고 빈 홀기만 끌고 물러갈 것이란 말
숙특(淑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18 페이지 / 전적]
善邪의 뜻과 같음 書經 畢命에 「旌別淑慝」이란 대문이 있음.
숙항(叔行)[경노의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아저씨뻘이 되는 항렬.
숙헌(叔獻)[송강집(松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이율곡의 자(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