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숙연(宿緣)[도덕가(道德歌) 2 페이지 / 전적]

전생의 인연

숙연(肅然)[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1 페이지 / 전적]

고요하고 엄숙함.

숙연별(宿緣)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5 페이지 / 전적]

숙연별로. 깊은 인연별로. ‘별’ 은 명사 뒤에 쓰이는 접미사로 갈래와 구별됨을 이르는 말. ‘개인별로’와 같은 말.

숙열부인(淑烈婦人)[벽천가 68 페이지 / 전적]

정조와 지조를 굳게 지킨 부인에게 내리던 칭호. 정렬부인(貞烈婦人)

숙용그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4 페이지 / 전적]

「老箂子」- 春秋時代 楚의 賢人인데 天性이 至孝하여 行年이 七十에 嬰兒의 遊戱를 하여 彩衣를 입고서 母親을 즐겁게 하였음.

숙의(淑儀)[송강집(松江集四)4 27 페이지 / 전적]

이조 때의 내명부(內命婦), 종이품(從二品)벼슬. 궁중에서 직무는 없고 임금의 부실(副室)로 교명(敎命)을 받들면 빈(嬪)으로 승격한다. (大典會通)

숙의(淑儀)[송강집(松江集六)6 28 페이지 / 전적]

여관명(女官名)

숙의홍상(熟衣紅裳)[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숙의(熟衣)는 난의(暖衣). 따뜻한 저고리와 고은 치마.

숙정기(肅靜旗)[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엄숙하고 조용하게 서 있는 깃발. 내룡(內龍) 지세의 형국을 가리킴.

숙정기(肅靜旗)[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엄숙하고 조용하게 서 있는 깃발. 내룡(內龍) 지세의 형국을 가리킴.

숙정기(肅靜旗)[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엄숙하고 조용하게 서 있는 깃발. 내룡(內龍) 지세의 형국을 가리킴.

숙정패(肅靜牌)[옥단춘전이라 4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군령(軍令)으로 사형을 집행할 때 떠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세우던 나무패. ‘肅과 靜’ 두 자를 씀.

숙제(叔齊)[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말기의 현인(賢人)(?~?).이름은 지(智).자는 공달(公達).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치려고 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수양산에 숨어 살다가 굶어 죽었다.

숙제(叔齊)[아림가(娥林歌)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말기의 현인(賢人)(?~?). 이름은 지(智). 자는 공달(公達).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치려고 할 때 형 백이(伯夷)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수양산에 숨어 살다가 굶어 죽었다.

숙조(宿鳥)[상사가라 9 페이지 / 전적]

잠을 자거나 자려고 하는 새.

숙조투림(宿鳥投林)[그리져리구경하고 20 페이지 / 전적]

잘 새가 숲속에 듦.

숙종(肅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고려 제15대 왕(1054~1105)으로 이름은 옹(顒), 초명은 희(熙)이다. 자는 천상(天常). 해동통보를 주조하여 화폐 제도를 시작하였다. 재위 기간은 1095~1105년이다.

숙종(肅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3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9대 왕(1661~ 1720)으로 이름은 순(焞), 자는 명보(明普)이다. 대동법을 확대 실시하고,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대하였다. 재위 기간은 1674~1720년이다.

숙종대왕(肅宗大王)[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조선의 19대 왕. 현종의 아들로 어머니는 청풍부원군 김우명(金佑明)의 딸 명성왕후(明聖王后)이다. 초비(初妃)는 영돈녕부사 김만기(金萬基)의 딸인 인경왕후(仁敬王后), 계비(繼妃)는 영돈녕부사 민유중(閔維重)의 딸인 인현왕후(仁顯王后), 제2계비는 경은부원군 김주신(金柱臣)의 딸인 인원왕후(仁元王后)이다. 1667년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1674년 8월 즉위했다.

숙종대왕(肅宗大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19대 왕(1661~1720)으로 이름은 순(焞). 자는 명보(明普). 대동법을 확대 실시하고,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대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