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사채갱(蔬食菜羹)[명륜가(明倫歌) 35 페이지 / 전적]

거친 밥과 나물국

소삼(蕭森)[리행소챙가 24 페이지 / 전적]

바람이 불어 마음이 쓸쓸함.

소삼재(小三災)[권왕가 51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572 참조

소삼지[권왕가 49 페이지 / 전적]

소삼재(小三災)의 오기(誤記)임. 세계가 괴멸(壞滅)하여 공무(空無)로 돌아가기까지에 일어난다는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饑饉災)의 세 가지를 가리키는 말.

소삼하니(蕭森--)[규중여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쓸쓸하고 을씨년스럽다.

소삽[석천집(石川集二-五)2-5 61 페이지 / 전적]

쓸쓸한 바람소리를 뜻한다.

소상(小祥)[애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죽은 지 일년 만에 지내는 제사

소상(小祥)[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은 지 1년 만에 지내는 제사.

소상(瀟湘)[송강집(松江集一)1 88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사람 굴원(屈原)이 조국을 근심하여 마침내 소상강 멱라(汨 羅)에 빠져 죽었으므로 그 일을 들어 말한 것임.

소상(瀟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2 페이지 / 전적]

「瀟湘數莖」―竹의 別稱임. 또 琅玕이라고도 稱함. 韓愈의 城南聯句詩에 「瀟碧遠輪委」가 있는데 註에 「瀟碧은 竹이다」라 하였음.

소상(瀟湘)[류월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中國)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의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을 아울러 이르는 말. 그 부근(附近)에는 경치(景致)가 아름다운 소상(瀟湘) 팔경이 있음

소상(瀟湘)[한탄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의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을 아울러 이르는 말. 그 부근(附近)에는 경치(景致)가 아름다운 소상(瀟湘) 팔경이 있음.

소상(瀟湘)[ 6 페이지 / ]

중국 호남성의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 소수와 상수를 아울러 이름.

소상(瀟湘)[용산세보(蓉山世寶) 8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의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 소수와 상수를 아울러 이름.

소상(瀟湘)[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정호(洞庭湖)에 합류해서 들어가는 소수강(瀟水江)과 상강(湘江)을 말함.

소상(瀟湘)[셔유곡 9 페이지 / 전적]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쳐지는 주변 지역을 말함.

소상(瀟湘)[옥산가라 3 페이지 / 전적]

‘소상(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강과 상강(湘江)을 아울러 이르는 이름)’의 잘못.

소상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6 페이지 / 전적]

「湘纍」-罪로 죽은 것이 아님을 纍라 稱함. 屈原이 湘水에 投身하여 죽었기 때문에 湘纍라 이름. 漢書揚雄傳에 『欽吊椘之湘纍』라는 句가 있음.

소상강[석천집(石川集二-五)2-5 5 페이지 / 전적]

소수(瀟水)와 상수(湘水)의 두 강 이름.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 남쪽에 있는데 그 부근의 경치가 좋아서 팔경(八景)으로 유명하다

소상강[석천집(石川集二-五)2-5 70 페이지 / 전적]

소상은 소수(瀟水)와 상수(湘水)를 일컫는데 호남성 동정호 남쪽에 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