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소렴(小殮)[소상팔경가 18 페이지 / 전적]
시체에 새로 지은 옷을 입힘.
소렴(小殮)[자치가 20 페이지 / 전적]
시체에 새로 지은 옷을 입힘.
소례 대례(小禮大禮)[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0 페이지 / 전적]
규모가 크고 작은 중대한 의식.
소례 대례(小禮大禮)[자경별곡 12 페이지 / 전적]
규모가 크고 작은 중대한 의식.
소례 대례(小禮大禮)[ 1 페이지 / ]
규모가 크고 작은 중대한 의식.
소례 대례(小禮大禮)[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8 페이지 / 전적]
규모가 크고 작은 중대한 의식.
소록小麓[ 1 페이지 / ]
작은 언덕.
소론(少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사색당파의 하나. 서인(西人) 가운데 소장파인 한태동, 윤증 등을 중심으로 한 당파이다. 숙종 때에 경신출척 이후 남인(南人)의 숙청에 대한 의견 대립으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노장파와 갈라졌다.
소루(疏漏)[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꼼꼼하지 않고 거침.
소루(疏漏)[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이나 행동이 꼼꼼하지 않고 거침.
소루(疏漏)[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이나 행동이 꼼꼼하지 않고 거침.
소루(疏漏)[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꼼꼼하지 않고 거침.
소류(遡流)[축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물길을 거슬러 올라감.
소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3 페이지 / 전적]
「聲臭 」―하느님의 하는 일은 소리도 냄새도 없다는 말임. 詩經大雅 文王 에 『上天之載 無聲無臭』라는 句가 있고 그註에『載는 事의 뜻이다』라 하였음.
소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8 페이지 / 전적]
「無聲無臭」-詩經 大雅 文王에 『上天之載 無聲無臭』라는 句가있고 그 註에 『載는 事이다』라 하였음.
소리[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4 페이지 / 전적]
본분대로 행함을 말함.《周易 履卦 初九》에 ‘본분대로 해 나가면 허물이 없다.〔素履徃旡咨〕‘하였음.
소림굴(少林窟)[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용어로 선불교(禪佛敎)의 초조(初祖)인 달마대사(達磨大師)가 9년간 도를 닦아 깨달음을 얻은 곳을 말한다.
소만(小滿)[춘산노인담 5 페이지 / 전적]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며, 만물이 점차 생장(生長)하여 가득 찬다고 한다.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소만(立夏) 소만(小滿)[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0 페이지 / 전적]
일년 24절기의 일곱째. 양력으로 5월 6일경임. 일년 24절기의 하나. 양력으로 5월 21일경임.
소만후(小滿後)[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소만이 지난 후에. 소만은 절기 이름으로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으며 음력 5월 21일 경.